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신중년 세대가 재취업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 의 관계에서 가족지지와 자긍심이 조절 및 매개 효과를 수행하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재 취업을 원하는 경기도 거주 신중년층(50∼60대) 중 지자체의 교육지원 프로그램에 참여 중이거나 참여 경험이 있는 남, 여로 하였 다.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검증 및 Bootstrapping 기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재취업 스트레스는 자긍심에 부(-)적 영향 을 미치며, 이때, 가족지지는 재취업 스트레스와 자긍심 간의 관계에서 조절 변 수로 작용하여 위험요인이라 할 수 있는 재취업 스트레스의 부(-)적 영향을 완 화하였다. 둘째, 가족지지는 재취업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조 절 변수보다는 매개 변수로서 더 유의미하게 작용하였다. 셋째, 가족지지와 자 긍심은 Sobel 검증과 Bootstrapping 분석결과 이중 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신중년층의 재취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정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가족지지와 자긍심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고, 신중년 재취업 지원 정책을 설계하고 코칭 및 교육 프로그램제작에 도움을 주고자, 심리적 안정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 의의가 있다.
        5,100원
        2.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신중년 여성의 적응필요역량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Y시에 거주하는 50세∼69세 신중년 코칭 교육 여성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 터뷰와 요구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Colaizzi 방법과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신중년 여성 들이 은퇴 후 자율적이고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적응 역량으로 자긍심, 경제적 자립 능력, 사회적 소통 능력, 심리적 회복 탄력성, 평생학습 능 력이 도출되었다.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자긍심과 경제적 자립 능력이 가장 큰 격차를 보여 우선순위 과제로 나타났으며,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자긍심, 경제적 자립 능력, 사회적 소통 능력이 즉각적인 개선이 요구되는 핵심 영역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신중년 여성의 주요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정 책과 교육적 지원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심리적 안정, 경제적 자립, 사회적 관계 강화를 통한 지속 가능한 삶을 지원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 의가 있다.
        6,400원
        3.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신중년에게 맞춤화된 사회적 참여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입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효과 및 현장 적용 가능성 평가 도구로 용이한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선행연 구 분석을 통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후 전문가 평가를 거치며 내적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120명의 은퇴(예정)자를 대상으로 총 8차시에 걸친 교 육에 적용하였다. 외적 타당화 과정에서는 신중년 학습자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진행하였고,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미디어 리터 러시 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변량분 석을 통해 학습자의 나이와 학력이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내용 분석을 통해 신중년 학습자들의 서술 형 응답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사회적 참여 의지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되 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신중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강화, 사회적 참여를 위한 SNS 활 용 방안, 지역 사회 홍보 방안을 총체적으로 반영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 였다는 점,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을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미디어 리 터러시 함양과 사회적 참여 의지에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지닌다.
        6,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