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흡연 대학생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금연 자기효능감, 학업 소진과 금연 의도 간에 어떤 연관이 있는지 확인하고, 흡연 대학생의 금연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흡연 대학생 157명을 대상으로 2023년 10월 10일부터 2023년 11월 1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WIN 2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변 수 특성에 따라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흡연 대학생의 금연 의도는 금연 자기효능감(r=.55,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학업 소진(r=-.26, p=.001)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흡연 대학생의 금연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은 금연 자기효능감(β=0.55, p<.001), 학업스트레스(β=-0.21, p=.014)로 확인되었고. 회귀 모형식은 유의하였으며(F=37.92, p<.001), 모형의 설명력은 32.0%였다. 이를 근거로 흡연 대학생의 금연 의도를 높 이기 위해서는 학생 개인의 경험과 환경적 요인 외에도 금연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내용과 학업 소진 을 줄이는 방안을 금연 교육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in smoking cessation, academic burnout, and the intention to quit smoking among college smokers. Data was collected from 157 college smokers enrolled at two universities between October 10, 2023, and November 10, 2023.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WIN 28.0 progra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mokers' intention to quit smoking and their self-efficacy in smoking cessation (r = .55, p < .001). In contra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burnout (r = -.26, p = .001). Additionally, the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mokers' intention to quit smoking were identified as self-efficacy in smoking cessation (β = 0.55, p < .001) and academic burnout (β = -0.21, p = .014). The regression model was significant (F = 37.92, p < .001),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32.0%. Based on these findings, to enhance college smokers' intention to quit smoking, it is important to incorporate strategies that increase self-efficacy in smoking cessation and reduce academic burnout in smoking cessation education. This should occur alongside consideration of individual student experiences and environmental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