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예이츠와 중산층의 통시적 연구: 대립에서 공존의 모색으로 KCI 등재

A Diachronic Study on W. B. Yeats and the Middle Class: from Conflict to the Pursuit of Coexist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07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The Yeats Journal of Korea (한국 예이츠 저널)
한국예이츠학회 (The Yeats Society of Korea)
초록

본 논문은 예이츠의 저술 기간 동안 아일랜드 가톨릭 중산층과의 관계 변화를 물질주의, 갈등, 공존의 주제에 집중하여 통시적 연구로 제시한다. 앵글로-아일 랜드계 출신인 예이츠는 문화 민족주의를 통해 아일랜드의 독립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가톨릭 중산층의 물질주의와 몰예술성을 비판하며 대립 양상을 드러냈다. 이러한 갈등 은 1913년 9월 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며, 예이츠의 비판 의식을 반영한다. 그러나 1916 년 부활절 봉기를 계기로 예이츠는 민족 정체성과 민족주의자들의 희생에 대해 복합적 인 시각을 갖게 되었다. 1916년 부활절 에서 예이츠는 봉기 지도자들에 대해 존경심 과 회의를 동시에 표현한다. 이후 다시 찾아간 시립 미술관 에서는 과거의 영웅들과 친구들을 회상하며 그들이 아일랜드 민족정신의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강조한 다. 본 연구는 아일랜드의 정치적·사회적 변화에 대한 예이츠의 반응을 추적하고, 그가 어떻게 시를 통해 사회적 대립을 넘어 공존과 문화적 통합으로 향했는지를 분석한다.

This paper presents a diachronic study of W. B. Yeats’s relationship with the Irish Catholic middle class, focusing on themes of materialism, conflict, and eventual coexistence. As an Anglo-Irish writer, Yeats frequently confronted with the Catholic middle class in the process of seeking independence of Ireland through cultural nationalism. Yeats expresses his criticism of their materialism and cultural indifference, particularly in “September 1913.” However, the Easter Rising of 1916 led Yeats to develop a more complex view of national identity and nationalists’s sacrifice. In “Easter 1916,” Yeats expresses a sense of both admiration and ambivalence toward the leaders of the Easter Rising. Later, in “The Municipal Gallery Revisited,” Yeats remembers his friends and national heroes and emphasizes their crucial role in the revival of the Irish national spirit. This study traces Yeats’s responses to the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of his time and analyzes how his poetry gradually moved beyond social conflict toward a vision of coexistence and cultural unity.

목차
우리말 요약
Abstract
I
II
III
Works cited
저자
  • 최윤주(한양여자대학교 호텔관광과, 서울 사이버대학교 강사) | Yunju Choi (instructor in Hotel and Tourism Department, Hanyang Women’s University and Seoul Cyber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