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애인을 위한 차량 관련 보조공학기기 품질관리 방안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Quality Management Measures for Vehicle-Relate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099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장애인의 자가운전을 지원하고 사회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기반으로, 차량 관련 보조공학기기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체계적인 품질관리 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현재 국내에 부재한 명확한 품질 기준을 보완하고,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실효성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는 총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1차 및 2차 전문가협의체 회의를 통해 차량 관련 보조공학기기 품질관리의 방향성과 구체적인 시험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이후 델파이 조사는 전문가 패널 20명을 대상으로 항목별 중요도 및 적합 도를 평가하고, 최종 품질관리 기준 항목을 확정하였다. 결과 : 1차 전문가협의체를 통해 시험인증, 체크리스트, 수입제품 인증 확인이라는 세 가지 품질관리 방안이 도출되었고, 이 중 시험인증 방안이 핵심 방안으로 채택되었다. 2차 전문가협의체에서는 SAE 기준을 참고하여 22개의 시험 및 평가 항목이 도출되었으며, 델파이 조사 결과 내용타당도비율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 항목을 제외하고 총 21개 항목이 최종 품질관리 기준으로 확정되었다. 이 기준은 SAE 국제 표준을 기반으로 하되, 국내 실정과 산업계 의견을 반영하여 조정되 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차량 관련 보조공학기기의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품질관리 기준 방안을 제시하였 으며, 이는 향후 관련 제도 마련 및 기술 가이드라인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품질관리는 단순한 제품 성능의 확보를 넘어 장애인의 안전한 이동권 보장과 자립적인 사회참여에 기여하는 핵심 요소임을 강조하며, 실제 사용자 참여와 산업계 협력을 바탕으로 한 단계적 도입 방안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systematic quality management standard for vehicle-relate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o support independent driving and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among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particular, it sought to address the absence of clear domestic standards and propose a practical solution aligned with international guidelines. Methods :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expert committee meetings, the overall direction of quality management and specific test items for vehicle-related assistive devices were derived. A subsequent Delphi survey involving 20 expert panel members was used to evaluate the importance and appropriateness of each item, leading to the confirmation of the final quality management standards. Results : Three quality management approaches were proposed during the first expert meeting: certification testing, checklist-based evaluation, and verification of imported product certifications. Among these, certification testing was selected as the core strategy. In the second expert meeting, 22 test and evaluation items were proposed based on SAE standards. Following the Delphi survey, one item that did not meet the minimum Content Validity Ratio (CVR) threshold was removed, and a total of 21 items were finalized. The final standard was based on international SAE guidelines but adjusted to reflect the domestic context and input from industry stakeholders. Conclusions : This study presents a feasible quality management framework to ensure the safety and performance of vehicle-related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The proposed standard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policy development and technical guideline formulation. Furthermore, the study emphasizes that quality management extends beyond product reliability, playing a critical role in guaranteeing the right to mobility and supporting the independent and active social particip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 phased implementation approach that incorporates user participation and industry collaboration is recommended.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1차 전문가협의체 회의
    2. 2차 전문가협의체 회의
    3. 델파이 조사
Ⅲ. 연구 결과
    1. 1차 전문가협의체 회의 결과
    2. 2차 전문가협의체 회의 결과
    3. 델파이 조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김재남(전주대학교 건강과학종합연구소 연구원) | Kim Jae-Nam (Dept. of Health Science Research Institute, Jeonju University, Researcher)
  • 최원석(한국장애인고용공단 보조공학센터 연구위원) | Choi Won-Seuk (Assistive Technology Center,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Research Fellow)
  • 장완호(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조교수) | Jang Wan-Ho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Medical Sciences, Jeonju University, Assistant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