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너도밤나무속(Fagus spp.) 생육가능지역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Potential Habitats for Beech Species (Fagus spp.) Using SD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17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너도밤나무속(Fagus spp.)은 북반구 온대 활엽수림의 대표적인 속(genus) 중 하나로 우리나라에는 울릉도에만 자생 하는 너도밤나무(Fagus multinervis)가 있다. 본 연구는 너도밤나무속에 대해 기후적인 관점으로 우리나라 육지에서의 생육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종분포모형(SDM) 중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인 Maxent(Maximum entropy)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형은 5가지로 우리나라 너도밤나무만을 대상으로 한 유형(Case1_Fm), F. multinervis와 F. japonica를 묶은 유형(Case2_Fmj), F. multinervis와 F. crenata를 묶은 유형(Case3_Fmc), 3종을 모두 합친 유형(Case4_Fmjc), 각 종마다 분석한 뒤 중첩한 유형(Case5_Ovlp)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Case1_Fm은 우리나라 육지에서 생육 가능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Case2_Fmj~Case5_Ovlp의 경우 동해안 일부 지역에서 낮은 생육 가능성이 나타났다. 이때 주요 환경변수는 가장 따뜻한 달의 최고기온(Bio5)과 강수량 계절성(Bio15)이었다. 또한, Worldclim의 Bioclim 환경변수를 이용해 우리나라 전체, 우리나라 육지에서 생육 가능성이 나타난 동해안 지역, 3종에 대한 너도밤나무속 출현지점에 대하여 환경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전체 평균과 달리 동해안 지역, F. multinervis 관측지점은 계절적인 온도 차이가 작고, 강수량 변동이 높지 않아 계절성이 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너도밤나무 조경수 생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genus Fagus, a representative group of temperate broadleaf forests in the Northern Hemisphere, includes the Fagus multinervis, which is native to Ulleungdo Island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potential possibility for the growth of Fagus spp. on the Korean mainland from a climatic perspective. To achieve this, the Maximum Entropy model analysis, machine learning among the species distribution models (SDM), was conduct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four cases: Case1_Fm (focused solely on F. multinervis), Case2_Fmj (combining F. multinervis and F. japonica), Case3_Fmc (combining F. multinervis and F. crenata), Case4_Fmjc (combining all three species) and the type created by overlapping the analyses of each species (Case5_Ovlp). The results showed that Case1_Fm had almost no potential for growth on the Korean mainland, while Case2_Fmj to Case5_Ovlp indicated low growth potential in some areas along the east coast. The key environmental variables influencing growth were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warmest month (Bio5) and precipitation seasonality (Bio15). Additionally, using WorldClim's Bioclim environmental variables, the study analyze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entire South Korea, the east coast areas with potential growth, and the occurrence points of the three Fagus spp. Unlike the overall average in Korea, the east coast areas and F. multinervis occurrence points showed less seasonal temperature variation and lower precipitation variability, indicating weaker seasona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the cultivation of Fagus spp. as landscaping trees.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범위 및 연구대상지
    2. 종분포모형 분석
    3. 생육환경 특성 분석
결과 및 고찰
    1. 생육가능지역 분석
    2. 너도밤나무 분포 환경
    3. 종합고찰
REFERENCES
저자
  • 김경록(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석사과정) | Kyeong-Rok Ki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50463, Republic of Korea)
  • 최송현(부산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 Song-Hyun Cho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Miryang 50463,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