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section of Physiognomy and MBTI: A Facial Trait Analysis of Feeling (F) and Thinking (T) Types
관상학(Physiognomy)은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경험적 검증의 부재로 미신 으로 치부되어 왔으나, 일부 실용 분야에서는 활발히 참조되어 이론과 실제 간의 괴리가 존재했다. 이에 본 연구는 ‘외형이 내면을 반영한다’는 관상학의 핵심 전제를 현대 통계 방법론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MBTI의 감정형 (F)-사고형(T) 유형과 관상학적 얼굴 특징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총 77 명의 참여자로부터 사진 데이터를 수집하여, 관상학 이론에 기반한 6가지 얼 굴 특징(눈 크기, 눈동자 크기, 코끝의 살, 입술 두께 등)을 전문가와 함께 5점 척도로 코딩하였다. 수립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선형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 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F/T 유형은 ‘눈길이’를 제외한 5가지 특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감정형(F) 집단이 더 큰 눈, 도톰한 입술 등을 갖는 경향을 나타냈 다. 또한, F/T 유형을 예측하는 로지스틱 회귀 모델(Pseudo R²=.462)에서는 ‘눈 동자 크기’, ‘코끝의 살’, ‘입술 두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핵심 예측 변수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관상학적 특징과 성격 유형 간의 실증적 연관성을 규 명함으로써, 관상학을 탈신비화하고 과학적 탐구의 대상으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이는 관상학이 향후 심리학, 인공지능 등과 융합될 수 있 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Despite its long history, physiognomy has been dismissed as superstition due to a lack of empirical validation, creating a gap between its practical application and academic standing. This study, therefore, aimed to statistically test physiognomy's core premise—that external appearance reflects internal disposition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facial features and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Feeling (F) vs. Thinking (T) dimension. Facial data from 77 participants were used to code six features (e.g., eye size, pupil size, nose tip fleshiness, lip thickness) on a 5-point scale, co-rated with an expert based on physiognomic theories. Linear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employed to test the established hypothe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F/T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ve of the six features, with the Feeling (F) group tending to have larger eyes and thicker lips. Furthermore, in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predicting F/T type (Pseudo R²=.462), pupil size, nose tip fleshiness, and lip thickness were identified as key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the association between physiognomic traits and personality, suggesting a path to demystify physiognomy and establish it as a subject for scientific inquiry. It holds academic significance by laying a foundation for future convergence with fields like psych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