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기 여성노인의 자아탄력성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여가몰입의 매개효과 KCI 등재후보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commitment in the relationsh ip between self-resilience and interpersonal skills of the elderly women in early lif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25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자연치유재활복지융합연구(구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Rehabilitation Welfare Convergence Study)
초록

본 연구는 전기 여성노인의 자아탄력성과 대인관계 능력의 관계 에서 여가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D시에 거주하는 전기 여성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회수율는 93%로 총 279부를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여가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 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obel-test를 통해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아탄력성은 대인관계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아탄력성은 여가몰입에 정적 영 향을 확인하였다. 셋째, 전기 여성노인의 자아탄력성을 통해 대인관 계 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기 여성노인의 자아탄력성과 대인관계 능력의 관계에서 여 가몰입은 교량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고 부분 매개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를 통해 전기 여성노인의 대인관계 능력을 증진 위해 보다 다양한 지원방안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an d interpersonal skills of the elderly women in the early lif 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300 elderly women li ving in D city. The recovery rate of the survey was 93%, and a total of 279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 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hierarchi 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 ing effect of leisure commitment, and statistical significanc e was verified through Sobel-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elf-resil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skills. Second, self-resil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leisure co mmitmen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elf-resilience of t he elderly women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s kills.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leisure commitment ser ves as a brid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and interpersonal skills of the elderly women in the early l ife, and it was verified that it is partially mediated. Throug h this, it is expected that more diverse support plans will be derived to improve the interpersonal skills of the elderl y women in the early life.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2. Study method
    2.1 연구모형
    2.2 연구대상
    2.3 연구 도구
    2.4 자료분석 방법
3. Results
    3.1 기술통계 분석
    3.3 상관관계 분석
    3.4 연구모델의 분석결과
4. Discussion & Conclusion
References
저자
  • 정선영(39160 Dept. Social welfare, Kyunwoon Univ., 730, Gangdong-ro, Sandong-eup, Gumi-si, Gyeongsangbuk-do, Gumi-sil, Korea) | SunYoung Je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