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공계약에서 물가변동금지특약의 효력 : 부당특약의 효력을 중심으로 KCI 등재

Effectiveness of Price Fluctuation Prohibition Clauses in Public Contracts : Focusing on the Effectiveness of Unfair Claus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25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건설법무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Legal Affairs)
한국건설법무학회 (Korean Society of Construction Lagal Affairs)
초록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이하 ‘국가계약법’이라 한다) 제5조 제 3항은 “각 중앙관서의 장 또는 계약담당공무원은 계약을 체결할 때 이 법 및 관계 법령에 규정된 계약상대자의 계약상 이익을 부당하게 제한하는 특약 또 는 조건을 정해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제4항은 “제3항에 따른 부당한 특약등은 무효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부당특약금지 및 그 무효규 정의 적용과 관련하여 대법원은 계약상대자의 계약상 이익과 합리적 기대에 비하여 형평에 어긋나는 특약으로서 계약상대자에게 부당하게 불이익을 주는 특약은 무효라고 판시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대법원이 제시하는 기 준은 불공정약관을 규제하기 위한 약관규제법의 법리를 차용한 것임을 밝히 고, 이러한 대법원의 태도가 기본적으로 타당한 입장에서 선 것임을 검토하였 다. 나아가 대법원은 위의 판단기준에도 불구하고 부당특약에 대한 판단을 할 때 매우 소극적 운영을 하고 있음을 살펴 본 다음, 이러한 운영방식은 국가계 약법상 부당특약금지 규정의 입법취지상 반드시 타당한 것은 아님을 분명히 하였다. 그리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국가계약법에 의해 설정된 국가와 그 상대 방의 이익조정을 위한 규정(예를 들어 물가변동에 따른 계약금액 조정규정)으 로부터 이탈되는 특약을 체결하는 경우 그 특약의 합리성을 국가가 증명하지 못하면, 그 특약은 부당특약으로 추정하도록 증명책임을 전환하여야 할 필요 가 있음을 검토하였다.

The National Contract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ct”) stipulates in Article 5, Paragraph 3 that “The head of each central government agency or the public official in charge of contracts shall not establish any special terms or conditions that unreasonably restrict the contractual interests of the contracting party as prescribed in this Act an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hen entering into a contract.” Article 4 further stipulates that “Any unfair special terms or conditions as referred to in Paragraph 3 shall be deemed invalid.”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provisions prohibiting unfair clauses and stipulating their invalidity,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special clauses that are unfair to the contracting party and cause them undue disadvantage, as they are contrary to equit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actual interests and reasonable expectations of the contracting party, are invalid. this paper clarifies that the criteria presented by the Supreme Court are based on the legal principles of the Act on the Regulation of Terms and Conditions for the purpose of regulating unfair terms and conditions, and examines whether the Supreme Court's view is reasonable. Furthermore, despite the criteria it has established, the Supreme Court has been very passive in its judgments on unfair terms, clearly stating that this is not necessarily justified in light of the intent of the legal provisions prohibiting unfair terms. to supplement this point, we examined the need to shift the burden of proof to the state to demonstrate the reasonableness of special provisions that deviate from the provisions established by the National Contract Act for the adjustment of interests between the state and its counterparties (e.g., provisions for adjusting contract amounts in response to price fluctuations) when such special provisions are concluded. If the state cannot demonstrate the reasonableness of such special provisions, they should be presumed to be unfair special provisions.

목차
목 차
초 록
Ⅰ. 들어가며
    1. 논의의 계기
    2. 중재사건의 쟁점들
    3. 서술의 순서
Ⅱ. 물가변동금지특약은 부당특약인가?
    1. 부당특약 규제에 관한 법률
    2. 국가계약법에 의한 부당특약 금지와 그 효력
Ⅲ.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태관(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Kim Tae-Kwan (Professor, Law School, Yonsei University)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