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소규모 사업장의 위험성평가 개선방안 연구 : ESG 경영 평가지표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isk Assessment in Small and Medium Businesses : Focusing on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25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건설법무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Legal Affairs)
한국건설법무학회 (Korean Society of Construction Lagal Affairs)
초록

본 연구는 중·소규모 사업장의 높은 산업재해를 저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 기규율 예방체계의 위험성평가를 개선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론적 고찰을 위해 기존의 위험성평가 방법과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대기업에 비하여 열악한 중·소규모 사업장의 위험성평가수행에 어려움을 인식하였다. 이를 해결하 기 위한 수단으로 중·소규모 사업장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ESG 경영 평가지표를 함께 고찰하였다. ESG 평가지표 중 산업안전 분야의 위험성평가 내용이 일부 존재하여 기존 위험성평가와 ESG 평가지표 간 관계성, GAP분석 을 통해 문제점을 발견하고 리스크마이닝 기법으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모든 사업장에 적용가능한 고도화된 자기규율 예방체계의 위험성평가 개선방 안으로 향후 중소규모 사업장의 산업재해를 경감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studied ways to improve the risk assessment of the self-discipline prevent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reducing high industrial accidents in small and medium-sized workplaces. For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existing risk assessment methods and problems were identified, and the difficulty of performing risk assessment in poor medium and small workplaces compared to large companies was recognized. As a means of solving this problem,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were considered together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small and medium-sized workplaces. Some of the ESG evaluation indicators existed, 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isting risk assessment and ESG evaluation indicators and GAP analysis were used to discover problem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m with risk mining techniques. It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industrial accidents in small and medium-sized workplaces in the future as a way to improve the risk assessment of an advanced self-discipline prevention system applicable to all workplaces.

목차
목 차
초 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1. 중·소규모 사업장의 산업재해 현황과 대응방안
    2. 중·소규모 사업장의 위험성평가 이행실태
    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위험성평가 방법
    5. ESG 경영
Ⅲ. 위험성평가와 ESG의 관계성
    1. ESG 평가지표와 평가방법
    2. 위험성평가별 ESG 평가지표 분류
    3. 위험성평가별 ESG 평가지표 항목과 갭(GAP) 분석
    4. 리스크마이닝 기법 제안
Ⅳ. 문제점 분석 및 개선 방안
    1. 문제점 분석
    2. 위험성평가 개선 방안
    3. 연구의 한계점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희평(숭실대학교 안전보건 융합공학과) | Park Hee Pyung (Soongsil University Department of Health and Safety Convergence Engineering Ph,D. program)
  • 조광형(숭실대학교 안전보건 융합공학과) | Cho Koang Hyeng (Soongsil University Department of Health and Safety Convergence Engineering Ph,D. program)
  • 윤효섭(숭실대학교 안전보건 융합공학과) | Yoon hyo soub (Soongsil University Department of Health and Safety Convergence Engineering Ph,D. program)
  • 이준원(숭실대학교 안전융합대학원) | Lee Jun Won (Soongsi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afety Convergence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