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호지역을 지정하고 있지만, 보호지역에 대한 관리 부족으로 효과성을 평가하기 어렵다. 보호지역 효과성 평가를 위해 다양한 지표들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있다. 그 중 토지피복 변화 분석은 경제적이고 장기적인 변화 파악이 가능하며, 공간적 제한이 상대적으로 적어 다양한 대상지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변화를 이용하여 야생생물 보호구역의 효과성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보호지역 내부와 외부, 타 보호지역과의 중복지정 여부, 지정 시기에 따라 과거 자연지역이 농업지역 또는 시가화건조지 역으로 변화한 비율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보호지역 내부에서는 보호 효과가 있지만, 외부에서는 개발압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타 보호지역과 중복된 보호지역일수록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지정 시기가 오래된 보호지역일수록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토지피복 변화가 줄어들어 지속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경제적이 고 장기적 변화 파악이 가능한 토지피복을 이용하여 보호지역의 효과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토지피복은 끊임없이 변화할 것이며, 드론과 같은 첨단장비를 이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한다면 보호지역의 효과와 압력을 더욱 신속하고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Protected areas have been designated worldwide as a methods to conserve biodiversity. However, due to insufficient management, it is often difficult to accurately assess the effectiveness of protected areas. Various indicators a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rotected areas, among which land cover change analysis provides cost-effective and long-term insights with relatively few spatial limitations, making it applicable to a wide range of sit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Wildlife Protected Areas(WPAs) by analyzing land cover changes. Specifically, analyzing the proportion of previously natural areas that have been converted into agricultural land or urban areas, considering factors such as whether the location is inside or outside the protected area, overlapping designations with other protected areas, and the designation period. The results reveal three key findings: First, while protective effects were observed within WPAs, but significant development pressure was identified in surrounding areas. Second, WPAs overlapping with other protected areas tended to be more effective. Third, the longer a WPAs has been designated, the less land cover change occurs over time, demonstrating a sustained protective effec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quantitatively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WPAs using land cover analysis, which is both economical and capable of capturing long-term environmental changes. As land cover continues to change, the use of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drones for real-time monitoring could enable faster and more precise assessments of both protective effectiveness and external pres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