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의 시상 및 그 계절별 변화 KCI 등재

Astronomical Seeing and Its Seasonal Trends at MAA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10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관측 시상은 천체관측을 진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의 평 균 시상이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그 시상이 계절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밀양아리랑우주천 문대의 0.7m 망원경을 이용해 관측을 2 4회 진행했으며, 그 관측은 2 02 2년 6월부터 2 02 3년 5월까지 진행됐다. 그 결과, 측정된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의 연평균 시상은 3.1"±0.8"이었다. 계절별로는 여름철의 평균 시상이 2.2"±0.3"로 가장 좋 았으며 이어서 봄(2.8"±0.4"), 가을(3.1"±0.7"), 겨울(4.1"±1.1"), 순으로 시상이 좋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산에 위치한 한 국과학영재학교 천지인천문대에서의 시상 계절 변화와 비교해 논의했다. 추가적으로 시상이 풍속 및 미세먼지 농도와 관계가 있는지 조사해 보았으나, 뚜렷한 상관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향후에는 시상 관측 자료와 기상 정보를 장기적 으로 종합해, 시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이 무엇인지 보다 자세히 규명하고자 한다.

Astronomical seeing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erformance of astronomical observa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eeing at Miryang Arirang Astronomical Observatory (MAAO) and its seasonal trends. For the investigation, 24 observations were performed using the MAAO 0.7 m telescope spanning June 2022 to May 2023. Consequently, the annual averaged seeing measured at MAAO is 3.1"±0.8". The best average seeing by season is 2.2"±0.3" in summer, followed by spring (2.8"±0.4"), fall (3.1"±0.7"), and winter (4.1"±1.1").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measured at the Korea Science Academy Space Earth and Man Observatory in Busan. Furthermore, no strong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seeing and meteorological parameters such as wind speed and the amount of fine dust. We expect that long-term monitoring of the seeing combined with comprehensive weather data will help identify the key factors influencing astronomical seeing at MAAO.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 론
2. 관측장비
3. 관측
4. 결 과
5. 논 의
    5.1. 천지인 천문대와의 시상 변화 비교
    5.2. 풍속, 미세먼지량과 시상과의 관계
    5.3. 그 외 시상에 미칠 수 있는 요인들
6. 요약 및 결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임성훈(부산대학교 지구과학과, 46241,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 경상남도교육청 과학교육원, 52620, 경상남도 진주시 진성면 진의로 178-35) | Seonghun Lim (Department of Earth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Science Education Center, Jinju 52620, Korea)
  • 임구(부산대학교 지구과학과, 46241,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 부산대학교 미래지구환경연구소, 46241,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 | Gu Lim (Department of Earth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Institute for Future Earth (IFE),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Corresponding author
  • 김도형(부산대학교 지구과학과, 46241,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46241,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 | Dohyeong Kim (Department of Earth Science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6241, Korea) Corresponding author
  • 박근홍(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 50420,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대공원로 86, 밀양시 시설공단, 50420, 경상남도 밀양시 시청로 26) | Keun-Hong Park (Miryang Arirang Astronomical Observatory, Miryang 50420, Korea, Miryang City Facilities Management Corporation, Miryang 50420,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