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측 시상은 천체관측을 진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의 평 균 시상이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그 시상이 계절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밀양아리랑우주천 문대의 0.7m 망원경을 이용해 관측을 2 4회 진행했으며, 그 관측은 2 02 2년 6월부터 2 02 3년 5월까지 진행됐다. 그 결과, 측정된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의 연평균 시상은 3.1"±0.8"이었다. 계절별로는 여름철의 평균 시상이 2.2"±0.3"로 가장 좋 았으며 이어서 봄(2.8"±0.4"), 가을(3.1"±0.7"), 겨울(4.1"±1.1"), 순으로 시상이 좋았다. 이러한 결과는 부산에 위치한 한 국과학영재학교 천지인천문대에서의 시상 계절 변화와 비교해 논의했다. 추가적으로 시상이 풍속 및 미세먼지 농도와 관계가 있는지 조사해 보았으나, 뚜렷한 상관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향후에는 시상 관측 자료와 기상 정보를 장기적 으로 종합해, 시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이 무엇인지 보다 자세히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60대의 대뇌에서 T1, T2, PD 이완 시간 값을 측정하여 연령별 특정 해부학적 구조물들의 이완 시간 의 평균값과 연령에 따른 이완 시간 변화의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60에서 69세까지 총 50명의 정상 뇌자기 공명영상검사자의 데이터를 Synthetic MR의 MAGiC을 이용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부위는 해마, 대뇌 부챗살, 측두엽 회백질, 시상, 뇌척수액이었다. 실험결과 해마, 대뇌 부챗살, 측두엽 회백질은 연령 변화에 따른 T1, T2, PD 이완 시간의 차이가 없었다(p>0.05). 하지만 시상에서는 PD 이완시간이 연령과의 상관성이 있었고(R2=0.112, p<0.05), 뇌척 수액에서는 T1 이완시간(R2=0.063, p<0.05)과 T2 이완시간(R2=0.061, p<0.05)에서 연령과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추후 다양한 연령대의 대뇌 이완 시간을 측정하여 평균값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고, 시상과 뇌척수액에서는 대규모 모집단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되며 이에 본 연구가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사료된다.
목 적 : 후방십자인대는 무릎 관절의 안정화를 위한 중요한 인대로 인체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사방향 관상면 영상과 이중 사방향 시상면 영상을 획득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6년 12월부터 2017년 1월까지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검사하였고 SIEMENS사의 Skyra 3.0T에서 knee coil을 사용하였다. 검사 방법은 T2 COR, PD SAG을 획득하고 원위부 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구조를 고려한 PD OBL COR과 전체적인 구조를 고려한 PD Dual OBL SAG을 획득하였다. PCL의 관상면 비교를 위하여 밑단점의 길이와 폭을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시상면 평가를 위하여 기시점, 중간지점, 밑단점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측정결과를 Mann-Whitney 방법을 사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정성적 방법은 기존의 관상면, 시상면 영상과 사방향 관상면, 이중 사방향 시상면 영상에서 후방십자인대를 비교하여 미흡, 대등, 우월 세 단계로 평가하였다.
결 과 : 검사를 진행한 결과 기존 관상면 영상보다 사방향 관상면 영상에서 원위부 후방십자인대의 길이는4 7.9%, 폭 14.9% 증가하였고, 기존 시상면 영상보다 이중 사방향 시상면 영상에서 기시점 19.8%, 중간지점 18.3%, 끝단점 33%의 증가된 것 으로 측정되었다.
결 론 : 사방향 관상면 영상과 이중 사방향 시상면 영상 모두 기존 영상보다 우월한 영상 검사방법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슬 관절 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관찰에는 기존 검사 방법에 사방향 관상면 영상 검사와 이중 사방향 시상면 영상 검사를 병 행하는 것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tense-aspect expressions at a discourse level and how discourse dimensions should be connected with discourse functions. Among many tense-aspect expressions, the paper focuses on the forms ‘-ess-’ and ‘-essess-’, which are complex in a sense that they depict both tense and aspect. The results show that ‘-ess-’ has a total of five discourse functions: ‘statement of past situation,’ ‘reminiscence of past situation,’ ‘objectification of present situation,’ ‘present validation of default result’ and ‘realization of hypothetical result.’ Moreover, ‘-essess-’ represents ‘order of past situations’ and ‘present invalidation of default results.’ Also these discourse functions are related to the discourse elements of ‘topic, information, and speak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function relevant to discourse elements. Ultimately, discourse research on tense-aspect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enables understanding of the utterance intention of Korean speakers using tense-aspect grammar. And it provides learners with the basis of using Korean correctly and appropriately.
목 적 : 물과 지방의 신호가 동 위상에 있을 때와 역 위상에 있을 때의 신호를 독자적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물 소거 영상과 지방 소거 영상을 제공하는 mDixon기법은 지방소거 영상에서 균일한 영상을 제공하며, 금속물에 의한 인공물을 줄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mDixon 기법을 통해 영상화 된 T2 영상과 T2 FS(지방소거) 영상에 대한 영상 비교를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추 자기공명 영상검사에서 mDixon 기법이 기존의 T2 TSE, T2 SPIR 영상과 비교하여 Scan Time, L3 body(요추 체), Back fat(등 지방), Spinal cord, CSF의 SNR과 CNR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11월부터 2016년 1월까지 Lower Back Pain으로 요추 자기공명 영상검사를 위해 내원한 성인 30명(남22, 여8, 평균연령 46.1±16.37, 평균 BMI 22.9±3.2)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한 장비는 Philips사의 Achieva Release 3.0 T와 Spine 전용코일을 이용하였으며, 요추 시상면 mDixon 검사와 T2 TSE, T2 SPIR 검사를 하였다. 검사 시 mDixon과 T2 TSE, T2 SPIR검사는 SNR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TR, TE, TSE factor, FOV, Matrix, Thickness, NSA)를 고정하였고, 이에 따른 Scan time을 비교하였다. 검사한 영상은 세 번째 요추를 가로 기준선으로 L3 Body, Back fat, Spinal cord, CSF에 대해 각각 20mm²의 원형 ROI를 설정하여 신호강도를 측정하였고, SNR과 L3 Body-Back fat의 CNR, Spinal cord와 CSF의 CNR값을 구하였다. 각각의 SNR, CNR 값은 대응표본 t-검정(SPSS win 18.0)을 통해 분석하였고, 0.05이하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으로 보았다.
결 과 : mDixon의 Scan time은 1분 55초, T2 TSE는 1분 00초, T2 SPIR는 1분 00초였다. mDixon T2영상은 T2 TSE 영상보다 L3 body에서 SNR이 높았고, back fat과 CSF에서는 SNR이 낮았으며(p<0.05) Spinal cord에서는 비슷한 SNR을 가졌다(p>0.05). L3 body와 back fat의 CNR은 mDixon T2영상이 높았으며, CSF와 Spinal cord의 CNR은 T2 TSE가 높았다(p<0.05). mDixon T2 FS영상은 T2 SPIR영상 보다 L3 body, back fat에서 낮았고, Spinal cord, CSF에서는 높았다(p<0.05). L3 body와 back fat의 CNR은 mDixon T2 FS영상이 높았으며(p<0.05), CSF와 Spinal cord의 CNR은 두 영상이 차이가 없었다(p>0.05).
결 론 : 결론적으로 LBP환자의 요추 시상면 자기공명 영상검사에서 mDixon 기법이 기존의 T2 TSE, T2 SPIR 기법에 비해 Scan time, 각 부위의 SNR, CNR에서 보다 우수한 영상이라 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단순 LBP환자를 대상으로 제한하였다는 한계로, 기존의 연구에서 보고된 특정 환자군의 설정(금속물 삽입, 척추 종양, 골절 환자 등)을 통한 추가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l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related to the body's movement from a sitting to a standing position (sit-to-stand task),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on the kinematic changes on the frontal and transverse pla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how pelvic tilt affects kinematic changes in the frontal and transverse planes in the hip and knee joints during a sit-to-stand task. For this study, 33 healthy participants (13 female) were recruited. Each participant rose from a sitting to a standing posture at his or her preferred speed for each of three different pelvic tilt trials (anterior, posterior, and neutral), and the measured angles were analyzed using a 3-D motion analysis system. A one-way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with Bonferroni's post hoc test. In addition, an independent t-tes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ex differences in hip and knee joint kinematic changes during the sit-to-stand tas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hip and knee joint angle in the frontal and transverse plan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ifferent pelvic tilt postures during sitting in the pre-buttock lift-off phase (pre-LO) (p<.05). Compared to the posterior pelvic tilt posture, the anterior pelvic tilt posture involved significantly greater hip joint adduction and internal rotation, knee joint adduction, and reduced internal rotation of the knee joint. 2) Sex differences were found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for males in the initial and maximal angles in the frontal plane of the hip and knee joint (p<.05). Females had a significantly smaller initial abduction angle of the hip joint and a significantly greater maximal angle of the hip adduction joi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ecting a sit-to-stand exercise for pelvic tilt posture should be considered to control abnormal movement in the lower extremities.
한국과학영재학교 천지인 천문대의 천문학적 시상 패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관측지의 시상 상황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그 관측지에서 시상을 측정하여 데이터를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부산 지역에서 시상에 관한 체계적인 측정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천문대에서는 2008년 5월부터 SBIG사의 시상 모니터를 도입, 매일 시간별 시상을 꾸준히 측정하고 있다. 시상 측정은 CCD로 직접 천체 이미지를 촬영하여 FWHM지수를 추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우리는 지난 8개월 동안 시상 모니터를 운영하면서 얻어진 한국과학영재학교 천지인 천문대에서의 시상 자료를 바탕으로 KSA SEMO에서의 시상 패턴을 'Sunset/sunrise Effect', 'Extreme Fluctuation', 'Sudden Increment', 'Daily Variation', 'Stable Condition' 등으로 분류하였다. 시상은 전반적으로 오전 1시에서 3시까지가 다른 시간대에 비하여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름의 시상이 겨울보다 좋았다.
빛은 인간과 동물에서 일주 리듬과 신경내분비 활동을 조절하는 자극이다. 망막-시상하부 경로는 주/야 주기와 신경내분비 활동에 관여한다. 특히 멜라토닌 분비는 빛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다양한 측면의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왔다. 본 논문은 생물학적 리듬과 신경내분비 활동에 있어서 빛이 수행하는 역할과, 빛과 건강 문제와의 관련성, 망막-시상하부 경로의 특성을 소개하고자 한다.
We have developed a seeing monitoring system and measured seeing variation of the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BOAO) and the Sobaek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SOAO) using a small telescope system. Our seeing monitoring system is similar to the differential image motion monitor (DIMM) installed at the ESO. The ooly difference between the BOAO and the SOAO seeing monitoring system is a detector system, a video camera at the BOAO and ST-4 camera at the SOAO. We confirmed that the seeing monitoring system at the SOAO can measure average seeing size inspite of its simple detector system. From the BOAO seeing measurement, we found that the seeing size changes fast.
We expect that our seeing monitoring system could be used for real time seeing monitoring after some improvement, and the data to be obtained would be very useful when we build adaptive optic system in the future.
이 연구의 목적은 기능성 질환의 감마나이프 시상하핵파괴술(또는 담창구파괴술, 시상파괴술)에서 렉셀 감마플랜의 표적 위치측정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다. 렉셀 감마플랜의 위치 설정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본원에서 뇌심부 자극술 수술을 받은 10명의 환자에 대해 렉셀 감마플랜(또는 렉셀 써지플랜)과 저자의 알고리즘에 의해 계산된 표적 좌표들의 차이 Δr가 평가 되었다. Δr는 0.0244663 mm에서 0.107961 mm까지 범위의 값을 가졌다. Δr의 평균은 0.054398 mm이었다. 또한 정위 공간과 뇌지도 공간 두 좌표계 사이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기 위하여 좌표변환 행렬을 매스매티카(Mathematica)의 의사역행렬 또는 특이값 분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정교한 정위틀 장착에도 불구하고 요(yaw)는 –3.44739 도에서 1.82243 도, 피치 (pitch)는 –4.57212 도에서 0.692063 도, 롤(roll)은 –6.38239 도에서 7.21426 도까지의 정렬 불량(misalignment) 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내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감마나이프 플랫폼에서 렉셀 감마플랜(또는 렉셀 써 지플랜)의 위치 설정에 대한 정확도를 확인함으로써 뇌심부 자극술에 금기 사항이 있는 개인이나 노인과 같이 종래 수술에 고위험으로 간주되는 환자에 대한 난치성 운동이상 질환의 대체 치료법으로 안전과 효능을 가진 감마나이프 시상하핵파괴술(또는 담창구파괴술, 시상파괴술)이 추천된다. 향후 기능성 질환의 표적 위치측정을 위해 제안된 알고리즘은 여러 감마나이프 센터의 운동이상 질환 치료에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Measures of radiographic pelvic and spinal parameters of sagittal balance analysis have become of considerable importance for reconstructive surgery of the spine, particularly in cases of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The authors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of clinical outcomes and a radiological review on 231 patients with one or two level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First, patients were classified using preoperative pelvic parameters and evaluations were conducted using mean values of pre- and postoperative spinopelvic parameters. Secon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study groups, that is, Group A (n=105; exhibited no improvement (increase or no change) in pelvic tilt postoperatively) and Group B (n=126; exhibited pelvic tilt improvement (decrease) postoperatively). Clinical outcomes i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using Visual Analogue Pain Scores (VAS)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ll preoperative pelvic parameters show restoration tendency after PLIF surgery for spondylolisthesis, and greater deviations of preoperative pelvic parameters from normality showed greater recovery postoperatively. VAS and ODI improvements at follow-up were poorer in group A than in group B.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HPA) 축은 생리적, 심리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는 신경 내분비 축이다. 이전의 보고에 따르면 신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에 의한 HPA 축반응이 사춘기 발달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암컷 흰쥐의 사춘기 전후 시기에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합성 유전자들의 활성 변화를 날짜별로 조사한 것이다. 생후 29일의 암컷 흰쥐를 사춘기 개시 이후 시기인 43일까지 2일 간격으로 희생하였다. HPA 축에서 스테로이드합성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semi-quantitative RT-PCR을 실행하였으며, 방사면역측정법(RIA)를 통해 혈청 내 코르티코스테론(corticosterone) 수준을 측정하였다. 시상하부에서 CRH를 발현을 조사한 결과 생후 35일까지는 다소 증가하다가 37일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후 생후 43일(p<0.05)에 다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GR 발현은 유의한 양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뇌하수체에서 ACTH mRNA 수준은 생후 33일까지 다소 증가하다가 35일부터 43일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은 보이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부신에서 StAR mRNA 수준은 점차적으로 감소하다가 생후 35일(p<0.05), 37일(p<0.05)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생후 39일에 다소 증가하였다가 다시 감소하여 43일(p<0.01)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CYP11A1의 발현 역시 StAR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며, 생후 35일(p<0.05), 37일(p<0.05)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3β-HSD의 발현은 전체적으로 감소하여 생후 35일(p<0.05)에서 39일(p<0.01)까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생후 41일에 다소 증가한 후 43일(p<0.01)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CYP11B1과 CYP21A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CYP11B1은 생후 31일(p<0.01)부터 35일(p<0.01)까지 크게 감소하고, 37일에서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여 생후 39일(p<0.05), 43일(p<0.05)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CYP21A 발현은 생후 37일(p<0.01)까지 크게 감소하고 39일 부터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혈중 코르티코스테론의 경우 생후 31일(p<0.01)부터 35일(p<0.01)까지 유의하게 증가하고 37일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춘기 개시 전후 시기에 HPA 축에서 스테로이드합성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 패턴이 동적으로 변화하며, 부신에서 효소들이 생후 35일경에 대체로 감소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는 사춘기 개시에 관여하는 HPG 축과 부신 축인 HPA 축간의 상호 조절 시스템이 존재하며 사춘기 개시 시점에 부신에서의 스테로이드합성이 어떠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콩이나 적포도주의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은 건강에 부정적이기보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콩류 섭취는 유방암이나 골다공증,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 예방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콩류, 특히 그 주성분인 genistein(GS)이 상기한 긍정적인 효과 외에도 여성의 생식계에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계속되어왔다. 선행 연구에서 본 연구자들은 사춘기 전에 gen
콩 등에 많이 포함된 isoflavone계 물질인 genistein (GS)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결합하는 능력이 있어서 식물성 에스트로겐 (phytoestrogen)이라 불린다. GS는 항암효과, 심혈관계 질환 방지 효과 등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이 때문에 현재 콩 섭취가 널리 권장되고 있다. 본 연구진은 GS 경구투여에 의해 암컷 흰쥐의 사춘기개시가 촉진됨을 보고한 바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생식에 미치는 GS 효과가 어느 단계의 조직에서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GS를 경구투여 또는 뇌실내 미세주입한 모델을 사용하여 시상하부-뇌하수체에 미치는 영향과 작용기작을 조사하였다. 미성숙 (생후 30일) 그리고 성숙 (12주) 암컷 흰쥐를 사용하여 GS (3.4 ㎍/10 ㎕)을 죄측 제3뇌실에 미세주입하고 2시간 후 희생시킨 후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의 생식 관련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였다. 한편, 미성숙 흰쥐 (생후 25일)에 GS를 질구개방이 일어날 때까지 경구투여하고 희생시킨 후 동일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GS를 뇌실내로 투여한 미성숙 흰쥐의 시상하부에서의 KiSS-1 발현은 유의하게 증가한데 비해 GnRH 발현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GPR54 발현은 변화가 없었다. 성숙한 흰쥐의 경우, KiSS-1, GPR54, GnRH 발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GnRH 발현의 상위조절자인 GAD67발현은 미성숙, 성숙 개체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미성숙한 개체에 GS를 경구투여했을 때, KiSS-1, GPR54, GnRH 발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미성숙한 흰쥐의 시상하부에서, GS미세주입에 의해 ERα 발현은 변화가 없었지만, ERβ 발현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GS를 미세주입한 개체의 뇌하수체에서, common α subunit 발현은 미성숙, 성숙 개체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LHβ와 FSHβ subunit mTNA 수준은 미성숙 개체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성숙한 개체에서는 반대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GS의 사춘기개시 촉진효과가 시상하부 활성의 직접적인 조절을 통해 일어날 수 있음을 증명하였고, 사춘기 전과 성체에서의 반응, 특히 뇌하수체의 반응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후자의 경우, 시상하부-뇌하수체 생식호르몬 조절회로의 성숙도에 따라 GS 효과가 나타나는 데 시간적인 차이가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6-hydroxydopamine(6-OHDA)는 파킨슨 질환 동물 모델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는 신경독소로 도파민성 뉴런에 대한 특이적인 독성을 나타낸다. 도파민 신호는 중추신경계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생리 기능을 조절하는데, 이에 따라 파킨슨병 환자와 6-OHDA를 처리한 동물들의 신경내분비 활성에 극심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6-OHDA 주사 모델에서 시상하부-뇌하수체 신경내분비 회로에 관한 연구들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