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에서 “你什么时候来了?”와 같은 ‘의문사+VP+了’ 형식의 표현은 ‘是……的’ 구문의 오류 유형 가운데 하나로 다루어지는데, 사용 맥락과 화자의 의도에 따라서 자연스러운 표현이 되기도 한다. 의문사와 ‘了’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문장은 ‘是…… 的’ 구문과 비교해 볼 때, 초점 범위와 담화 전제에 차이를 보이며 본질적으로 상이 한 화용적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了’는 의문사 구문의 초점 구조를 재 편성하며, 주로 ‘의외성’과 ‘반문’의 의미를 함축한 간접화행으로 실현된다. 화용적 측 면의 역할에 맞춰 ‘是……的’ 구문과 ‘의문사+VP+了’ 구문을 이해하자면, 전자는 정 보의 전달에 초점이 있고, 후자는 감정과 태도의 전달에 초점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각각 담화적 필요에 의한 사용이라는 점을 강조한 이러한 분석은 학습자에게 서 자주 보이는 ‘了’의 대치로 인한 오류를 줄이고 차별적 활용 원리를 제시할 수 있 으며, 문법 현상을 파악하는 데에 화용적 맥락의 인식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 한다.
In Chinese, expressions such as ‘你什么时候来了?’ (When did you come?)—which follow the structure of ‘interrogative word + verb phrase + le’ — are often treated as erroneous expressions in the context of teaching the ‘shi……de’ construction. However, depending on the context and the speaker’s intent, such expressions can be pragmatically natural and appropriate. Sentences that combine interrogatives with ‘le’ differ from the ‘shi……de’ construction in terms of focus range and discourse presupposition, and they possess fundamentally different pragmatic functions. ‘le’ restructures the focus in interrogative constructions and often functions as an indirect speech act, implying meanings such as mirativity or rhetorical questioning. From a pragmatic perspective, the ‘shi……de’ construction is primarily used for conveying information, whereas the ‘interrogative word + verb phrase + le’ construction emphasizes the speaker’s emotions or attitudes. This analysis, which highlights the discourse-driven use of each construction, can help reduce common learner errors involving the substitution of ‘le’, and it offers a clearer principle for their differentiated use. Furthermore,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pragmatic context awareness into the teaching of grammatical phenome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