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마을만들기에서 주민 주체성에 관한 교육적 의미 탐색 KCI 등재

Explor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Resident Subjectivity in Community Build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는 마을만들기에서 주민이 실질적 주체로 기능하지 못하고, 외부 주체 중심으로 설정되는 현 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간 발표된 국내 마을만들기 주체 관련 연구 40편을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분석틀로는 Kolb의 경험학습, Wenger의 실천공동체, Freire의 해방교육, Derrida의 해체 이론, Deleuze와 Guattari의 리좀 개념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대부분은 지방정부, 정책집단, 중간지원조직을 실행 주체로 설정하고 있었다. 반면, 주민은 수혜자나 참여 대상으로 간주되었으며, 주체로 인식되지 못하는 경향이 반복되었다. ‘주민 주도’ 라는 담론은 실행 구조와 분리된 채 형식적으로만 유지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주민을 이미 실천하는 존재로 전제하고, 마을만들기를 평생학습 실천의 장으로 재구성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주민 중심 협력적 거버넌스 실현을 위해 교육적‧제도적 전환이 요청된다.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tendency in community-building projects where residents are not recognized as resident subjects, but remain peripheral participants. To address this issue, 40 domestic studies on the subjectivity of residents in community-building published over the past decade were analyzed using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method. The analysis was grounded in Kolb’s experiential learning, Wenger’s community of practice, Freire’s critical pedagogy, Derrida’s deconstruction, and Deleuze & Guattari’s concept of the rhizome. Findings show that most studies positioned local governments, policy groups, and intermediary organizations as dominant subjects in the execution process. Residents were mainly framed as beneficiaries or passive participants, rather than as subjects of practice. The discourse of “resident-led” community-building was often symbolic and disconnected from actual implementation structure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reinterpret community-building as a lifelong learning practice. It calls for educational and institutional transformations that recognize residents as practicing subjects and support the construction of community-based collaborative governance.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마을만들기와 주민 주체 형성의 평생교육적 의미
    2. 마을만들기 주체 담론의 한계에 대한 해체적 관점
Ⅲ. 연구방법
    1. 주제 및 범위 설정
    2. 문헌수집
    3. 문헌분석
Ⅳ. 연구결과
    1. 마을만들기 주체에 관한 연구의 기본 특성
    2. 마을만들기 주체에 관한 연구에서 나타난 주체와 대상
    3. 마을만들기 주체에 관한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 및 논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조수진(연세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 Jo Soo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