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민배움의 가능성: 자율적 공생을 위한 시민교육의 재구성 KCI 등재

A Study on Possibility of Citizen Erudition: Reconstruction Citizenship Education for Convivia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0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오늘날 시민교육은 제도화된 체계 속에서 지식 전달과 규범 내면화에 초점을 맞추며, 인간의 자율성 과 공동체적 감수성을 배제하는 한계를 지닌다. 특히 기술주의와 성과주의적 교육 환경은 시민됨을 제 도적 기능이나 역할 수행에 국한시키며, 존재의 성찰이나 사회적 실천으로부터 분리시킨다. 본 연구는 이반 일리히의 『Tools for Conviviality』에 담긴 사상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아, 기존 시민교육의 구조 적 문제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이를 넘어서는 ‘시민배움’의 가능성을 자율적 공생이라는 관점에서 재 구성하고자 하였다. 일리히가 강조한 자율성과 공생이라는 윤리적 가치들은 단지 교육의 내용에 머무르 지 않고, 존재 방식과 관계의 방식에 대한 새로운 사유를 가능하게 하는 철학적 기반이 된다. 이러한 가 치들은 시민배움을 단순한 정보 전달이나 규범 순응의 훈련이 아닌, 삶의 실천과 자기 성찰을 중심으로 한 교육의 전환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시민배움은 치유, 개조, 의식소통과 같은 배움의 역량을 통해 삶의 윤리적 전환과 공동체적 책임을 가능케 하는 실천적 교육으로 이해된다. 본 연구는 시민배움의 전환이 시민성을 넘어 자율적 공생을 실현하는 시민됨의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시민 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탐색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of citizen erudition based on Ivan Illich’s Tools for Conviviality. Contemporary citizenship education has tended to focus on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and the internalization of norms within institutionalized systems, thereby marginalizing human autonomy and the sensibility of communal life. Especially under the regimes of technological instrumentalism and performance-driven education, citizenship has been reduced to functional roles and institutional compliance, disconnected from existential reflection and social practice. Drawing on Illich’s ethical values of conviviality and autonomy, this study redefined citizen erudition not as the delivery of information or training in conformity, but as a transformative and lived practice grounded in self-reflection and relational being. It emphasized existential engagement over regulatory instruction, and living together over competing. The capacities cultivated in citizen erudition-healing, reformatting, and inter-experience- enable both personal trans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al responsibility. In this framework, conviviality has provided the ethical foundation for self-restraint and mutual coexistence, autonomy facilitates critical reconstruction of life and structures, and symbiosis fosters relational responsibility and solidarity. Citizen Erudition therefore represents a paradigmatic shift in citizenship education- from competition to cooperation, from standardization to lived experience. This research has shown that Illich’s philosophy offers not only a critique of instrumental education, but also an ontological and ethical foundation for reimagining citizenship as a lived and shared practice. Ultimately, the study highlights that education should not merely instruct but facilitate existential transformation, linking education, life, and community through the ethos of citizen erudition.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자율적 공생과 시민성
Ⅲ. 시민교육
Ⅳ. 시민배움의 가능성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효선(경기대학교 초빙교수) | Kim Hyos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