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매력적이지만 위험한 자들 : 제인 오스틴 소설 속 ‘나쁜 남자’와 여주인공의 성장 KCI 등재

Charming but Dangerous : Bad Men and Female Growth in the Novels of Jane Aust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1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6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제인 오스틴의 소설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나쁜 남자’, 즉 도덕적으로 결함 있는 남성 인물을 중심으로, 오스틴 소설에서 드러나는 이들의 서사적 기능과 젠더 권력의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본 연구에서 는 오스틴의 장편소설 6권과 미완성 작품인 『왓슨 가족』에 등장하는 남 성 인물 중 ‘나쁜 남자’를 세 범주로 나누어 유형화하였다. 그들은 매혹 적인 바람둥이, 위선적 출세주의자, 그리고 침묵을 앞세운 책임회피자이 다. 『왓슨 가족』의 톰 머스그레이브, 『이성과 감성』의 존 윌러비와 『맨 스필드 파크』의 헨리 크로퍼드는 매력적으로 감정을 연출하지만 실천하 지 않는 무책임한 바람둥이로 분류하였고, 『오만과 편견』의 조지 위컴, 『노생거 사원』의 존 소프와 『설득』의 윌리엄 엘리엇은 감정을 가장하여 자신의 이익과 신분 상승을 추구하는 위선적 출세주의자로 보았다. 『왓 슨 가족』의 오즈번 경, 『엠마』의 프랭크 처칠과 『오만과 편견』 초반부의 다아시는 감정을 숨기거나 침묵함으로써 여성 인물에게 정서적 혼란을 초래하는 침묵하는 인물 또는 책임회피자로 분류하였다. 이처럼 오스틴 작품의 나쁜 남자를 세 유형으로 나누어 고찰하는 과정에서 오스틴이 당 대 가부장제 사회에서 ‘신사’라는 외양 아래 감춰진 도덕적 위선을 어떻 게 비판하는지, 이들 나쁜 남자는 오스틴의 여주인공의 도덕적 성장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드러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morally flawed male characters—often referred to as “bad men”—in the novels of Jane Austen. Far from serving merely as antagonists or romantic obstacles, these figures function as narrative catalysts that test the moral discernment, emotional resilience, and autonomy of female protagonists. By categorizing these men into three recurring types—the seductive libertine, the hypocritical opportunist, and the silent wielder of class-based authority—the paper reveals how Austen critiques both the gendered expectations of her society and the deceptive power of outward charm and social status. Rather than explicitly punishing these men, Austen allows their moral failures to illuminate the ethical growth of her heroines, who come to assert their own judgments in a world riddled with superficial manners and structural pressures. Through these narrative patterns, Austen not only constructs complex portrayals of women’s moral education but also subtly undermines the social legitimacy of the so-called “gentleman.” Ultimately, the study invites modern readers to reconsider the foundations of moral character: by what standards do we distinguish genuine integrity from performative virtue?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며
Ⅱ. 매혹적인 바람둥이들
Ⅲ. 위선적 출세주의자들
Ⅳ. 침묵을 앞세운 책임회피자들
Ⅴ. 나가며
<참고문헌>

저자
  • 조한선(경기대학교) | Han-sun Cho (Kyongg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