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죽음준비교육이 농촌교회 독거노인의 죽음불안, 영성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The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on Death Anxiety, Spirituality, and Meaning of Life Among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Rural Church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2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이 농촌교회 독거노인의 죽음불안, 영성,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K도에 거주 하는 65세 이상 농촌교회 독거노인 40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 을 모집하여 진행하였고, 실험집단에 대한 죽음준비교육은 총 10주(매주 1회, 매회 120분)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은 비동일 통제집단 전후비교조 사를 실시하여 사전-사후-추후 검증을 통한 교육의 중재효과를 측정하였 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 후-추후 점수 변화에서 죽음불안, 영성, 삶의 의미 모두에서 실험집단의 평균 변화량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죽음준비교 육은 죽음불안을 감소시키는 효과와 지속효과가 있었으며, 영성 및 삶의 의미를 증가시키는 효과와 지속효과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농촌교회 독거노인의 삶에 위협요인으로 작용할 죽음불안을 감소 시키고, 영성과 삶의 의미를 강화할 수 있는 죽음준비교육의 실천적·정책 적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on death anxiety, spirituality, and meaning in life among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and attending rural churches. Forty participants aged 65 and older in Province K were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n = 20) or a control group (n = 20).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structured 10-week program (once a week, 120 minutes per sessio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assess the program’s effectiveness, with measurements taken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several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death anxiety and significant increases in spirituality and meaning in lif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se effects were sustained over tim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using death preparation education to reduce death anxiety and enhance spiritual and existential well-being among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in rural church communitie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농촌교회 독거노인
    2.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3. 농촌교회 독거노인과 죽음불안
    4. 농촌교회 독거노인과 영성
    5. 농촌교회 독거노인과 삶의 의미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및 자료수집
    2. 연구대상
    3.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4. 연구도구
Ⅳ. 연구결과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증
    2.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죽음불안과 영성,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오덕은(중부대학교) | Deok-eun Oh (Joongbu University)
  • 길태영(중부대학교) | Tae-young Kil (Joongb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김영권(중부대학교) | Young-kwon Kim (Joongb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