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무용 기반 연극과 사진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율성, 자기표현,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KCI 등재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a cultural arts education program using dance-based theater and photography on the autonomy, self-expression and social behavior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무용을 기반으로 한 연극과 사진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프 로그램 참여가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율성, 자기표현, 사회적 행동에 미치 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G시 인재평생교육진흥원과 A대학교가 협업하여 진행한 장애인 문화예술교육 특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 발달 장애인 1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와 수업 관찰 및 면담조사 등의 질적 연구를 병행한 혼합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무용 기반 연극과 사진을 활용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율성, 자기표현, 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참여 정도’, ‘적극적인 표 현과 반응’, ‘창작 활동의 적극성’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며 스스로 결정하 고 행동하는 자율성이 향상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둘째, ‘표현 거부’와 ‘소극적인 표현’에서 점차 ‘적극적인 표현’, ‘망설임 없는 표현’, ‘자유로운 표 현’ 으로 변화되는 모습을 통해 자기표현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셋째, 상대방 행동에 ‘적극적인 반응’과 ‘경청’하는 태도를 보였고, ‘적극적인 팀 활동’, ‘협동 심’, ‘양보’, ‘배려’, ‘자신의 감정 통제’ 등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장애인의 자율성, 자기표현, 사 회적 행동 촉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방향을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ultural and arts education program, using dance-based plays and photography, on the autonomy, self-expression, and social behavior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en adults participated in a specialized program co-operated by the G-City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Agency and A University. A mixed-methods approach was used, combining prepost assessments with class observations and interviews. Resul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three areas. Participants gained decision-making ability, shifted from passive to active expression, and improved in cooperation, emotional control, and teamwork. The result suggests that arts education can enhance both personal and social development i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future program design.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장애인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관련 선행 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자료수집
    3. 자료 분석방법
    4. 신뢰도 및 타당도
Ⅳ. 연구결과 및 논의
    1.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2.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3.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
  • 박진영(광주대학교청소년상담평생교육학과) | Park Jin-Young (Gwangju University)
  • 김유정(에듀인재개발아카데미) | Kim Yu-Jeong (Edu-in Talent Development Academy)
  • 이정숙(광주대학교교육혁신처) | Lee Jung-Sook (Gwangj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