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태풍 미탁 이후 3년 : 자연재난 피해자의 심리적 회복 예측 요인 KCI 등재

Three Years After Typhoon Mitag : Predictors of Psychological Recovery in Natural Disaster Victi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3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자연재난 생존자의 심리적 회복과 관련된 개인적, 사회적, 제도·환경적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 해 2019년 태풍 ‘미탁’ 당시 심리적 고통을 경험했다고 보고한 280명의 재난피해자들을 대상으로, 재난 발생 3년 후 2022년 8월 8일부터 10월 7일까지 약 2개월간 이들의 심리적 회복 상태를 추적 조사하였다. 로지 스틱 회귀분석 결과, 회복탄력성과 일과 사회적 적응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회복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상 노출, 사회적지지, 공동체 회복력은 회복 여부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지 못 했다. 제도적·환경적 요인 중에서 정부지원금에 대한 만족도와 재난 대응 만족도는 회복 가능성을 높이는 반면, 부채 증가와 지역 안전에 대한 과 도한 낙관적 인식은 회복 가능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 안전에 대한 과도한 낙관적인 인식은 인지적 방어 기제의 작동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난 이후의 심리적 회복을 촉진하기 위해 서는 경제적 안정성 확보, 제도에 대한 신뢰 구축, 그리고 개인 내 심리 적 자원의 강화가 핵심 전략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individual, social, and institutional-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recovery among natural disaster survivors. A follow-up survey of 280 individuals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distress during Typhoon Mitag in 2019 assessed their recovery status three years later, from August 8 to October 7, 2022. Logistic regression revealed that higher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better work-social adjus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ikelihood of recovery. In contrast, trauma exposur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resilience were not significant predictors. Satisfaction with government financial aid and disaster response were positively related to recovery, while increased debt and unrealistic optimism about regional safety were negatively associated. The latter may reflect cognitive defense mechanism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to secure economic stability, build institutional trust, and strengthen individual psychological resources to support disaster recovery.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1. 개인 요인
    2. 사회 요인
    3. 제도·환경 요인
    4. 연구 목적 및 이론적 틀
Ⅱ. 연구 방법
    1. 연구 모형 및 연구 문제
    2. 연구 대상
    3. 연구 도구
    4. 자료분석
III. 연구 결과
    1.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심리적 회복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차이
    3. 심리적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고진아(경성대학교) | Jinah Koh (Kyungsung University)
  • 심경옥(경성대학교) | Kyungok Sim (Kyungsu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