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북한의 핵위협 형태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강압 위협과 도발 위협의 개념적 차이를 중심으로 KCI 등재

Rethinking the Study of North Korea’s Nuclear Threat Behavior : Conceptualizing Coercive versus Provocative Threa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논문은 김정은 시기 북한의 핵위협 행태를 설명한 기존 연구 경향 을 분석하고, 합리적 행위자 모델(rational actor model)을 적용한 연구 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분석틀을 모색한다. 합리적 행위자 모 델은 핵보유국이 억지나 강제를 목적으로 가하는 강압적 핵위협이 도발 (provocation)로 인식되어 상대국의 저항 의지를 고조시키고, 이에 대한 맞대응으로 위기가 확전(escalation)되는 과정과 외교적 협상을 통한 위 기가 해소되는 과정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닌다. 본 논문 은 핵 위기의 발생뿐만 아니라 위기의 고조와 해소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핵위협 사용의 동기와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두려움(fear), 분노(anger), 자긍심(pride) 등 감정적 요소를 명시적으로 포함한 심리적 행위자 모델 (psychological actor model)이 보다 설득력 있는 분석틀로 볼 수 있음 을 주장한다. 이러한 대안적 관점에서 볼 때, 강압적 핵위협과 도발적 핵 위협을 개념적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으며, 북핵 위기를 근본적으로 해결 하기 위해서는 억지력 강화 정책을 넘어서 상호 간 신뢰를 구축하고 상 호 안보에 대한 재확신(reassurance)을 제공할 수 있는 외교적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existing research trends that explain North Korea's nuclear threat behavior under Kim Jong Un and aims to explore an alternative analytical framework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tudies applying the rational actor model. The rational actor model fails to adequately explain how nuclear threats intended for deterrence or compellence can be perceived as provocations, thereby increasing the target state's resolve and escalating crises through reciprocal responses. It also lacks explanatory power for how such crises are de-escalated through diplomatic negotiation. This study argues that a more persuasive analytical framework must incorporate emotional factors—such as fear, anger, and pride—that influence both the motives and consequences of nuclear threats. From this alternative perspective, it is conceptually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coercive and provocative nuclear threats. Moreover, to fundamentally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diplomatic efforts that go beyond deterrence and seek to build mutual trust and provide reassurance regarding each other’s security must be pursued in parallel.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북한의 핵 위협 동인에 관한 기존 연구 경향
III. 합리적 행위자 모델 적용의 문제점
IV. 강압적 핵 사용 위협과 도발적 핵 사용 위협의 구분
V. 북한의 핵 위협 동인의 다양성
VI.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명철(아주대학교) | Myung Chul Kim (Ajou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