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BBNJ협정과 기존 국제해양법 질서와의 관계 분석: ITLOS의 기후변화에 대한 권고적 의견을 중심으로 KCI 등재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BNJ Agreement and Existing International Law of the Sea: Focusing on the ITLOS Advisory Opinion on the Climate Chan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9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海事法硏究 (해사법연구)
한국해사법학회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Law)
초록

2023년 6월 19일 유엔해양법협약의 세 번째 이행협정인 「해양법에 관한 국 제연합협약에 따른 국가관할권 이원지역의 해양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 한 이용에 대한 협정(BBNJ협정)이 채택되었다. BBNJ협정은 현존하는 해양질서의 권한을 저해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기존 해양법 질서와의 권한 중 첩 또는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은 존재한다. 따라서 이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 해서는 BBNJ협정과 기존 질서와의 관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BNJ협정은 UNCLOS와 일관적인 방법으로 이행되어야 하며, 특히 해양환경 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는 제12부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 국제해 양법재판소는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권고적 의견에서 UNCLOS와 타 협약과의 관계에 대한 문제와 협약 제12부에 대한 해석을 제시하였다. UNCLOS 제12부 에 대한 ITLOS의 권고적 의견은 BBNJ협정을 포함하여 향후 해양환경 보호 및 보존과 관련된 많은 국제 규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논문은 기후변화에 대한 권고적 의견에서 보여준 ITLOS의 해석 태 도를 바탕으로 BBNJ협정과 해양환경보호 및 보전에 대한 일반적인 의무관계와 관련 타 국제협약과의 관계, 지역수산기구와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권고적 의견에서 ITLOS가 언급한 UNCLOS의 개방성 및 헌법성과 엄격한 상당 한 주의의무에 대한 문제는 BBNJ협정도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해서 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적용범위에 대한 기준이 부존재하다는 점에 서 출발한다. 따라서 관련 다자조약의 지속적인 체결 및 국제판례의 축적, 관 련 규범들간의 협력을 통하여 최소한의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여 진다.

On 19 June 2023, the third implementation agreement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UNCLOS), titled the “Agreement under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on th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Marine Biological Diversity of Areas Beyond National Jurisdiction(BBNJ Agreement)”, was adopted. Although the BBNJ Agreement stipulates that it shall not undermine the authority of the existing related the international law of the sea, the potential for overlapping or conflicting jurisdictions with pre-existing legal regimes cannot be entirely ruled out. Consequently, a thorough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BNJ Agreement and the existing international legal instrument is essential for the prevention and resolution of such legal conflicts. The BBNJ Agreement must be implemented in a manner consistent with UNCLOS, particularly as it is closely linked to Part XII, which addresses the marine environment. Recently, the International Tribunal for the Law of the Sea (ITLOS) issued an advisory opinion on climate change, addressing issue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UNCLOS and other agreements, as well as the interpretation of Part XII of UNCLOS. The ITLOS's advisory opinion on UNCLOS Part XII is expected to influence many future international norms related to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pollution, including the BBNJ Agreement. This paper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BNJ Agreement and the general obligations related to th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as well as its relationship with other relevant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regional fisheries management organisations, based on the interpretative approach demonstrated by ITLOS in its advisory opinion on climate change. Additionally, the BBNJ Agreement inevitably faces issues related to the openness and constitutionality of UNCLOS, as well as the strict duty of due diligence, which ITLOS mentioned but did not define. Therefore, these issues were also examined. These issues stem from the absence of established standard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minimum standards through the continued conclusion of relevant multilateral treaties, the accumulation of international precedents, and cooperation among relevant norms.

목차
<목 차>
국문초록
Abstract
I. 서 론
Ⅱ. ITLOS의 기후변화에 대한 권고적 의견 요청사건
    1. 사건 개요
    2. UNCLOS와 타 협약과의 관계
Ⅲ. BBNJ협정과 기존 해양법 질서와의 관계 분석
    1. 해양환경 보호·보전 일반의무와의 관계
    2. 타 국제협약과의 관계
    3. 지역수산기구와의 관계
Ⅳ. BBNJ협정의 한계점
    1.‘개방성’및‘헌법성’의 한계
    2. ‘엄격한’ 상당한 주의의무의 이행 범위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임지형(한국해양대학교 세계해양발전연구소 전임연구원, 법학박사) | Jee-Hyung Lim
  • 이창열(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해양법연구부 선임연구원, 법학박사) | Chang-youl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