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in Liaoning, Shandong, and Shaanxi where classified most of their geological organizations into profit organizations, which means they must implement enterprise-oriented reform immediately. The valid 31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to verify the serial mediating model by AMOS 23.0. Results verified the crucial mediating effects of structural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between external-focus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openness for change. Adhocracy culture positively affects employees’ openness for change through three indirect paths, including one mediator and two mediators. Market culture impacts individuals’ openness for change through two indirect paths, one is through structural empowerment and another one is through two mediators. The findings provide managers in geological organizations with an empowering management practice model which could promote geological industry reform effectively.
        4,000원
        2.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의 연구는 개방형 혁신이 전략적 측면에서 혁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에 중점을 두고 있어 개방성의 형태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 또한, 개방형 혁신을 위해 개 방을 해야 하지만 혁신을 보호해야 하기도 한다는 모순이 존재한다. 최근 이와 관련하여 혁 신 보호 연구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방성의 형태가 제품혁신에 미 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관계는 전유성 메커니즘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OECD에서 개발하고 배포하는 CIS(Community Innovation Survey)를 기반으 로 국내 실정에 맞게 작성된 KIS(Korean Innovation Survey)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 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성의 형태는 제품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 친다. 구체적으로 외부 탐색은 활용적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협업은 탐험적 혁신 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유성 메커니즘은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 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공식적 전유성 메커니즘은 외부 탐색 과 활용적 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비공식적 전유성 메커니즘은 협업과 탐험적 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개방성의 형태를 기존의 방식과 는 다르게 외부 탐색과 협업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에 따라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 여 제품혁신의 유형과 적합한 개방성의 형태를 파악하였다. 둘째, 전유성 메커니즘의 특성에 따라 개방성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을 파악하여 개방성 의 형태와 제품혁신의 유형에 따라 더 적합한 전유성 메커니즘 유형을 파악하였다.
        6,700원
        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문화예술학습활동의 참여도가 개인의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자기효능감과 개방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울산광역시 지역축제 참가자와 문화원문화교실 수강생 240명에게 설문자료를 배포하여 이 중 유효한 설문지 227부(94.6%)를 활용하였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문화예술학습활동을 관람활동과 체험활동으로 분류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였으며, 둘째, 문화예술학습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개방성의 조절효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예술학습활동 참여도는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예술학습활동의 참여도는 개인의 심리적 안녕감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개방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자기효능감은 문화예술학습활동과 삶의 만족도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모두 조절효과가 발견되었으며, 개방성에 대한 조절효과는 문화예술학습활동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만 발견되었다.
        5,700원
        6.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asopalatine duct, the most dominant developmental tubule formed by the emergence of premaxilla and both sides of anterior palatal processes. This duct normally disappears in humans but remains latent and provides communication between the oral and nasal cavities in some mammals. However, the duct is obliterated and degenerated before birth in human, thus the persisting or patent nasopalatine duct in postnatal life is considered a developmental anomaly. Two cases of patent nasopalatine duct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Although the ducts were not sectioned longitudinally, they were probably connected each other and contained mucous materials secreted from the associated mucous glands. In the immunohistochemical study the ductal epithelium was consistently positive for the growth-related biomarkers including TGFβ1, c-erbB2, EGFR, CTGF, FGFb, HGF, eiF5A, FAK, and pAKT. And many columnar epithelial cells of the duct were positive for PCNA. Particularly, TNFα was clearly positive in the ductal epithelium together with β-defensin-2, -3 and MMP-3, -9. These findings may imply that the ducts have a growth potential postnatally and also can induce inflammatory reaction. Therefore, it was presumed that the present cases of patent nasopalatine ducts were caused by the latent proliferation of ductal epithelia in the vascular environment of nasopalatine canal without cyst formation, and also suggested that the patent nasopalatine ducts connected with functioning mucous glands were partly open to oral/nasal cavity and should be differentially diagnosed from the nasopalatine duct cyst.
        4,000원
        8.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유놀이에서 나타나는 놀이 양상을 탐색함으로 유아의 주도적이고 즐거운 놀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A유치원 유아를 대상으로 자유놀이와 바깥놀이 시간에 대한 유아관찰을 실시하였다. 유아관찰기록, 관찰영상 전사본, 현장약기(field notes)가 수집되었고 수집 자료에 대한 질적 분석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놀이과정에서 나타난 탐색의 다양성과 개방성의 양상은 탐색과 놀이 결합, 탐색과 실험, 도전의 범주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다양한 탐색과정에서 자신이 발견한 점을 친구들에게 선언하고 다른 방법의 탐색을 제안하였다. 또한, 유아들의 탐색활동은 놀이와 결합되었고 두가지 놀잇감을 결합하여 새로운 놀이가 즉흥적으로 창안되었다. 널빤지 탐색을 통해 유아들은 다양한 길을 만들어 가면서 탐색, 실험, 도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유아들의 놀이에서 나타난 놀이변형과 개방성의 양상은 신속한 의사결정과 호혜적 협상, 융통적 규칙과 놀이방법의 범주로 나타났다. 신속한 의사결정과 호혜적 협상은 유아의 놀이 변형과정에서 나타났으며 놀이 참여자들의 공동의 가상적 관심사가 반영되었다. 또한, 유아의 놀이에서 ‘자신이 만든 규칙’에 의해 진행되었고, 놀이 참여자들은 이러한 규칙을 수용함으로 놀이규칙과 방법에서 융통성의 모습을 보였다.
        9.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생태학 이론에 근거하여 외체계에 해당되는 학교주변의 자연환경을 살펴보고 개방성 및 접근성 정도에 따라 초등학생의 자연과의 연계성과 자아개념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하는 초등학교 4곳에 재학 중인 5학년 3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초등학교 4곳은 모두 도심 속 국공립 초등학교로 학교 주변으로 개방성 및 접근성 정도가 다른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다. A학교는 큰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B학교는 근접한 곳에 도시형 녹지공원이 위치하고, C학교는 뒤편으로 낮고 작은 산이 위치하고, D학교는 우리나라 문화유산인 궁으로 둘러싸여 있다. 측정도구로는 Mayer and Frantz(2004)의 자연과의 연계성과 Kelley(1998)의 자아개념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연과의 연계성과 자아개념은 D학교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자연과의 연계성 3.35±.51, 자아개념 3.55±.46), 초등학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차이를 보였다(자연과의 연계성 F=3.36*, 자아개념 F=9.25***). 자연과의 연계성과 자아개념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B학교(r=.48***)와 C학교(r=.37***)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일반적 특성인 성별, 환경관련교육 경험여부, 거주지형태를 통제한 부분 상관관계에서도 비슷한 결과로 나타났다. 학교 구분없이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 역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34***). 자연환경의 개방성과 접근성 정도가 비교적 좋은 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의 자연과의 연계성과 자아개념간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것은 비록 학교 내 자연환경은 아니지만 외체계로써 시각적 또는 물리적 접근이 가능한 학교 주변의 자연환경 역시 아동이 자연과 연계된다고 인식하고 궁극적으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갖는데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겠다. 학령기에 해당되는 초등학생의 경우 학교생활과 방과 후 활동을 통해 발달적 과업 성취와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학교환경은 물론 학교주변 자연환경 역시 중요한 물리적 환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초등학생의 건강증진을 위해 학교 주변 자연환경은 자연 개방성과 접근성을 고려한 생태학적 환경으로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외체계를 제외한 나머지 체계와 관련된 변수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편의추출에 의한 자료수집 역시 본 연구의 제한점이 될 수 있다. 초등학생의 자연과의 연계성과 자아개념 간의 관련성 또는 인과관계를 보다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도록 변수추가에 따른 다각적인 연구방법(종단적 연구, 중재연구, 다변량분석 등)을 제언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