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발달장애 아동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효과 KCI 등재

Effects of an Agro-heal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31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치유농업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문제행동, 보호자의 돌봄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대상자는 만 10~12세인 발달장애 아동 10명과 보호자 10명이었다. 치유농업 프로그램은 1년 동안 경기도 소재의 치유농장에서 주 1회씩, 회기당 120분씩 운영되었다. 치유농업 프로그램의 효과로,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성숙도,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 문제행동의 강도와 빈도, 감각 처리 능력을 측정하였고, 보호자의 양육 스트레스와 프로그램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분석은 기술통계 및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을 하였다. 결과 : 치유농업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연령, 문제행동의 빈도와 강도를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또한 치유농업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아동의 보호자에게 높은 만족도를 제공하고, 일부 참여자의 양육 스트레스 완화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치유농업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아동에게 의미있는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추후 발달장애아 동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명확히 입증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n agro-healing program in improving social interaction, problem behaviors, and parenting stress amo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0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10–12 years old) and their parent. The agro-healing program took place weekly for a year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with 120-min sessions.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children's social maturity, social interaction, communication, problem behaviors, and sensory processing were assessed. Parenting stress levels and program satisfaction were also measur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Results: The agro-healing program showed positive effects in enhancing the social age and reducing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problem behaviors. Additionally, the program was found to contribute, to some extent, toward alleviating parenting stress experienced by some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clusion: The agro-healing program contributed to meaningful improvement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expanding and refining the program through continued research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자
    2. 치유농업 서비스
    3. 연구 도구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연령과 사회지수 변화
    2.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문제행동 변화
    3. 발달장애 아동의 감각 처리 변화
    4. 보호자의 양육 스트레스 변화
    5. 보호자의 치유농업 프로그램 만족도
    6. 대면 인터뷰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유은영(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 Yoo Eun-You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Software and Digital Healthcare Convergence, Yonsei University, Professor)
  • 하예나(순천향대학교 감성지능형아동케어시스템융합연구센터 연구교수) | Ha Yae-Na (Emotional and Intelligent Child Care System Convergence Research Center, Soonchunhyang University, Research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
  • 전푸름(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대학원생) | Jeon Pu-Reum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Graduate Student)
  • 서은혜(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대학원생) | Seo Eun-Hy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Graduate Student)
  • 엄철용(치유농장 서로 대표) | Eum Chul-Yong (SEO-RO Care Farm, Dir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