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부적응적 정서조절과 공격성 간 관계: 수감자와 일반인 집단에서 도덕 정서의 매개효과 비교 KCI 등재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and Aggression: Moral Emotion as a Mediator Among Incarcerated and Non-Incarcerated Individua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34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부적응적 정서 조절이 범죄 행동을 유발하거나 강화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이 제안되어 왔으나, 국내에 서 이를 다룬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부적응적 정서 조절 전략 중 하나인 정서 비수용 및 억압이 도덕 정서 경험 및 범죄 행동 수준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일반인과 수감자 간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두 집단 모두에서 도덕 정서를 측정하고, 정서 비수용이 공격 성향(일반인) 및 범죄 행동(수감자)과 어떠한 경로로 연결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집단별로 매개분석을 수행한 결과, 일반인 집단에서는 도덕 정서가 정서 비수용과 공격 성향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으나, 수감자 집단에서는 정서 비수용과 범죄행동 간 유의미한 상관 또는 매개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공격 성향과 범죄 행동의 설명에서 정서 조절의 중요성을 강조하 는 한편, 일반인과 수감자 집단이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ve been proposed as key factors that may trigger or reinforce criminal behavior; however limited studies have addressed this relationship in the Korean context. This study explored the associations between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emotional non-acceptance or suppression), moral emotions, and aggression. To understand these characteristics’ relationships with criminal behavior, moral emotions were measured in incarcerated and non-incarcerated individuals, and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pathways connecting emotional non-acceptance to aggressive tendencies (in non-incarcerated individuals) and criminal behavior (in incarcerated individuals). Mediation analyses performed for each group revealed that moral emotion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non-acceptance and aggressive tendencies in non-incarcerated individuals.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 or mediation effect was observed between emotional non-acceptance and criminal behavior in the incarcerated group. These findings indicate the importance of emotional regulation in explaining aggressive tendencies and criminal behavior and suggest that incarcerated and non-incarcerated individuals may exhibit distinct patterns in these relationships.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2. 연구 방법 및 절차
    2.1. 연구 대상
    2.2. 측정 도구
    2.3. 절차
    2.4. 연구 방법
    3. 결과
    4. 논의
REFERENCES
< 부 록 >
저자
  • 김민영(계명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 Min Young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