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간호학과 신입생의 강점인식, 강점활용, 긍정정서가 그릿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Nursing Freshmen's Strengths Knowledge, Strengths Use, and Positive Emotions on Gri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41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의 강점인식, 강점활용, 긍정정서 및 그릿 정도를 파악하고,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U광역시와 G광역시 소재 2개 대학 간호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해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강점인식, 강점활용, 긍정정서, 그 릿 간에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강점활용(β=.230, p<.05), 긍정정서(β=.191, p=.03)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약 21.6%였 다. 이에 따라 간호대학생의 그릿 증진을 위해 강점 기반의 교육 프로그램과 긍정정서 향상을 위한 비교과 프 로그램 개발 및 적용, 그릿 강화를 위한 교육 및 심리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aimed at identifying the levels of strength recognition, strength utilization, positive affect, and grit among nursing freshmen, and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grit. The participants were nursing freshmen from two universities located in U metropolitan city and G metropolitan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trength recognition, strength utilization, positive emotion, and gri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strength utilization (β=.230, p<.05) and positive emotion(β=.191, p=.03)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grit, explaining approximately 21.6% of the total vari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strength-based educational programs, extracurricular interventions to foster positive emotions, and tailored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to cultivate grit in nursing student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2.3. 연구도구
    2.4. 자료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강점인식, 강점활용, 긍정정서,그릿의 정도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그릿 정도
    3.4. 대상자의 강점인식, 강점활용, 긍정정서,그릿의 상관관계
    3.5. 대상자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3.6. 고찰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김지현(광주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 Ji-Hyun Kim (The Effect of Nursing Freshmen's Strengths Knowledge, Strengths Use, and Positive Emotions on Grit)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