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AI리터러시 수준과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효 능감,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차이와 상관관계를 탐색하고자, 국내 2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235명을 대상으 로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ANOVA), Scheffé 사후검정 및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일반 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학년, 전공만족도, AI 관련 교과목 이수 경험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AI 교 과목을 이수한 학생이 비이수자보다 인공지능 리터러시와 문제해결능력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전공만족도가 높은 학생군이 낮은 학생군 보다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비판적 사고성향은 학년에 따라 차이를 보여, 4학년 학생이 1~2학년보다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AI리터러시, 비판적 사고성 향, 자기효능감,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 력 향상을 위해 AI리터러시를 기반으로 한 교육전략이 유효하며, 동시에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효능감을 함께 강화하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AI 활용이 간호대학생의 AI 리터러시와 활용에 대한 인식, 학습경험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G광역시 A대학교 창의융합 교과를 수강한 1학년 174명이다.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전·후 AI 리터러시 변화를 측정하였으 며, AI 학습경험에 대한 양적 분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 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I 리터러시의 개념, 실제, 영향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둘째, 연구참여자의 93.7%가 AI 활용 이 문제해결 과제 수행에, 88.8%가 질문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의미연결망분석에서 학생들은 AI 활용의 장점으로 '정 보', '빠르게', '아이디어' 등을 핵심 키워드로 인식하였고, 어려운 점으로 는 '정보', '답변'과 관련된 '출처', '신뢰성', '정확성' 문제를 제기하였다. AI 활용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은 간호학생의 AI 리터러시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긍정적인 학습경험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AI가 제공하는 정 보의 신뢰성과 정확성에 대한 우려, AI에 대한 과도한 의존성 등의 문제 점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간호교육에 AI를 적용할 때 고려 해야 할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전환충격에 미치는 영향 에서 스트레스 대처와 사회적 지지의 병렬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두 자원의 상대적 중요성을 규명하고 간호교육 현장에서의 중재 전략 수립 에 근거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C도에 소재한 일개 대학의 3~4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24년 11월 15일부터 11월 25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 상관분석, PROCESS macro의 Model 4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사회적 지지와 부적의 상관관계(r =-.237, p=.004), 전환충격과 정적 상관관계(r =-.685, p<.001)가 나타났고, 스트레스 대처는 사회적 지지와 정적 상관관계 (r =.219, p<.001), 사회적 지지와 전환충격은 부적 상관관계(r =.-296, p<.001)가 나타났다. 또한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전환충격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사회적 지지의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B=.033, 95% CI [.001, .094])가 확인되었다. 이는 전환충 격의 완화에 있어 개인이 보유한 대처 전략보다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사 회적 지지가 더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임상실습 교육 전반에서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지지 체계를 구축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일본의 개호보험과 한국의 재가장기요양보험 제도 를 비교·분석하여 두 제도의 제도적 차이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기존 학술연구, 정부 보고서, 국제기구 통계 등을 활용한 문헌 연구를 채택하였으며, 제도 도입 배경과 목적, 재정 구조와 운영 주체, 서비스 제공 체 계, 이용자 부담과 형평성, 그리고 제도의 성과와 한계를 중심으 로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두 제도는 모두 급속한 고령화와 가 족 돌봄 약화라는 사회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공적 돌봄 체계 를 확립하고, 가족의 부담을 경감하며, 노인의 서비스 접근성을 확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일본은 분권적 운영 체계로 인해 지역 간 격차와 재정 지속가능성 문제가 두드러진 반면, 한 국은 중앙집중적 운영을 통해 단기간에 제도를 확산시켰으나 서 비스 질 관리와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러 한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 장기요양보험의 발전 을 위해, 재정 안정성 확보, 서비스 질 관리 강화, 지역사회 돌 봄 체계 구축, 돌봄 인력 처우 개선이라는 네 가지 정책적 과제 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일본의 개호보험과 한국의 재가장기요양보험의 제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개선 방 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정책적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노인환자를 돌보는 요양병원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정서 적, 윤리적 요인이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요양병원 간호사의 공감역량과 윤리적민감성, 환자중심간호, 간호업무수행 간의 구 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업무수행 향상을 위한 이론적, 실무적 기초자 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국내 요양병원간호사 230명 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연구결과로 모형 적합도는 χ²/df=165.517, CFI=.945, TLI=.928, RMSEA=.092로 양호하였으며, 공감역량은 윤리적민 감성(β=.478, p<.001)과 환자중심간호(β=.716, p <.001)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간호업무수행(β=.431, p <.001)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민감성은 간호업무수행(β=.188, p <.001)에, 환자 중심간호는 간호업무수행에 매개요인으로 작용하였다(β=.477, p <.001). 간호업무수행 향상과 환자중심간호를 실천하기 위한 간호인력 배치 기준 을 재정비하고, 다학제 팀의료 상호 협업 중심의 전인적인 돌봄 지원 체 계를 구축하는 것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그릿, 성장마인드셋,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 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최근 의료 환경의 급변과 복잡성 증가에 따 라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역량은 중요한 교육 목표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심리 적 요인들과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교육적 개입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하 였다. J시 소재 간호대학 신입생 18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릿 (r = .74), 성장마인드셋(r = .46), 학업적 자기효능감(r = .73)은 자기주도학습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그릿(β = .49, p < .001)과 학업적 자기효능감(β = .48, p < .001)이 자기주도학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71.0%로 나타났다. 반면 성장마인드셋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기주도학 습 능력은 임상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필수 역량으로 그릿과 학업적 자기효 능감이 자기주도학습 역량을 크게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자기 주도학습 역량 강화를 위해 그릿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간호학과 2학년 학습자(147명)를 대상으로 소논문 형식의 ‘학술 보고서’ 쓰기 수업 운영 사례를 분석한 후 문제점과 개선점을 논의 해 교육 방안 및 방향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우선 전체 수업(82%), 과목 추천(94%), 교수자 첨삭(94%), 교재 개발⋅편찬(82%)에 만족하였으 므로 성공적이다. 그러나 조별 활동(78%), 발표와 토론(74%), 동료 첨삭 (70%)에 비교적 만족하였으므로 수정⋅보완해야 한다. 특히 학습자 100%가 글쓰기⋅발표와 토론에 자신이 없고, 92%가 논증문⋅주장문 쓰 기에 자신이 없다고 하였으므로 디지털 세대의 특성과 4⋅5차 산업혁명 시대적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을 개선⋅개편을 제안한다. 개선점은 수강 인원을 현행 35-40명 내외에서 20-30명으로 축소해야 하 고, 현행 2학점 2시수를 3학점 3시수로 조정해야 한다. 또한 현행 교양 선택 과목에서 교양 필수과목으로 지정해야 하고, 비교과 글쓰기 기초반 및 글쓰기 교정 센터를 개설⋅운영해야 한다.
Background: The integration of gamification in education necessitates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outcomes. Methods: This study explores the correlation between Bartle’s player types (Achiever, Explorer, Socializer, Killer) and Reid’s perceptual learning styles (Visual, Auditory, Tactile, Kinesthetic) among 343 South Korean nursing students. Results: Socializer was the most common player type (34.7%), and Auditory learning was the most preferred style (31.7%).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such as Achievers aligning with Auditory styles and Explorers with Kinesthetic styles. Conclusion: These results emphasize the need for gamification-based nursing education programs tailored to diverse learner profiles, offering a pathway to enhance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리더십과 국제보건간호역량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대학생의 국제 보건간호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일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 생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 하였으며, 최종 19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8.0 프 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리더십은 일반적 특성 중에 학년 (F=8.18, p<.001), 대학 생활만족도(F=10.16, p<.001), 학점(F=11.37,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 고, 국제보건간호역량은 학년(F=4.36, p=.005)과 학점(F=7.40,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 였다. 연구 대상자의 리더십은 국제보건간호역량과 상관관계(r=.65, p<.001)를 보였으며, 간호대학생의 국 제보건간호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리더십(β=.67, p<.001)으로 확인되었고, 모형 설명력은 45%였다 (F=16.25, p<.001).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의료환경 안에서 간호대학생이 국제보건간호역량을 갖 추어 간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리더십과 국제보건간호역량을 동시에 향상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실습 교육환경, 임상실습 시 경험한 무례함, 진로정체감 정도를 파악하고,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G 광역시 소재 2개 대학 간호학과 3, 4학년을 대상자로 선정했다. SPSS 27.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전 문직 자아개념 및 임상실습 교육환경은 진로정체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임상실습 시 경험한 무례함 은 진로정체감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임상 실습 교육환경, 무례함, 전공만족도, 임상실습만족도였으며 설명력은 31.7%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진 로정체감 향상을 위해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강화와 질 높은 실습 환경 조성, 무례함 예방 및 심리적 지지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의 강점인식, 강점활용, 긍정정서 및 그릿 정도를 파악하고,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U광역시와 G광역시 소재 2개 대학 간호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해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강점인식, 강점활용, 긍정정서, 그 릿 간에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강점활용(β=.230, p<.05), 긍정정서(β=.191, p=.03)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약 21.6%였 다. 이에 따라 간호대학생의 그릿 증진을 위해 강점 기반의 교육 프로그램과 긍정정서 향상을 위한 비교과 프 로그램 개발 및 적용, 그릿 강화를 위한 교육 및 심리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도덕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관련 교육프로그 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C도 J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25년 4월 8일부터 4월 17일 10일간 총 147부를 회수하여 142부의 자료를 SPSS/WIN 22.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도덕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 인은 감성지능(β=.367, p<.001)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거부적 양육(β=-.267 p<.001), 애정적 양육(β =.249, p<.001) 순으로 나타났고 본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3.7%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자아개념 확립 및 함양을 위해 애정적 자녀 양육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바람직한 부모 역할 수행을 장려 하는 교육과 감성지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a nursing simulation learning module for caring for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on nursing knowledge, clinical competence, team psychological safety, and learning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with 36 students (18 per group) assigned to either a simulation group or a lecture group. Data collected from June 8 to July 13, 2024,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Results: Nursing knowledge showed no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 (F=1.32, p=.260) but improved over time (F=8.24, p=.007). Clinical competence showed a significant group-by-time interaction (F=58.33, p<.001). Team psychological safety (t=2.70, p=.012) and learning satisfaction (t=2.27, p=.030) were higher in the simulation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simulation-based educational strategies in nursing curricula. The module may also be applied to the training of novice nurses in clinical settings, thereby contributing to enhanced nursing education and improved clinical practice.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using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on nursing students’ competency in emergency patient triage, core competencies, confidence in disaster nursing, and self-efficacy in disaster response. Methods: This study utiliz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n=25) participated in a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that incorporated the KTAS, whereas the control group (n=27) did not receive any interven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s. Results: The two groups differed significantly in both competency in emergency patient triage (t=3.47, p=.001) and confidence in disaster nursing (t=2.51, p=.015). Conclusi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a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using the KTAS, a tool currently employed in clinical practice, rather than theory-based instruction alone, contributed to enhancing nursing students’ practical competencies. Such training can improve the emergency patient triage and confidence in disaster nursing required in emergency situations, ultimately enabling future nurses to better protect the lives and health of individuals affected by disaster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in patient safety nursing on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patient safety, confidence in patient safe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engagement.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to May 2022 with 69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a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Two simulation scenarios were developed to enhance the patient safety competencies. Each scenario was implemented in two sessions, each lasting 90 minute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measured attitudes toward patient safety, confidence in patient safe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engagement before and after the simulation education. Data were analyzed by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s using SPSS Statistics Version 26.0. Results: After participating in the simulation program,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ir attitudes toward patient safety (t=9.11, p<.001), confidence in patient safety (t=15.66, p<.001), academic self-efficacy (t=6.03, p<.001), and academic engagement (t=9.28,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simulation education in patient safety nursing is an effective nursing education strategy.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to develop and expand diverse simulation-based learning programs in nursing education.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linical nurses' communication skills, critical reflection, and professional self-efficacy on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50 clinical nurses with at least 12 months of experience in a tertiary hospital. Validated scales for assessed communication skills, critical reflection, professional self-efficacy, and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Results: The mean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score was 4.24 ± 0.49, with the highest subscale scores observed in crisis management, patient-centered medication management, and problem-solving. Nurses aged 36 years and older and with over 6 years of experience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mmunication skills (r = .68, p <. 001), critical reflection (r = .70, p < .001), and professional self-efficacy (r = .61, p <. 001).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ese factors as significant predictors, collectively accounting for 57.5% of the variance. Conclusion: Communication skills, critical reflection, and self-efficacy significant determinants of nurses’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Educational programs targeting theses domains are essential to improve medication safet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ssess and refine such interventions, thereby supporting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mproved patient outcome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implement a multi-patient simulation (MPS)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with no prior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It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linical reasoning ability. Methods: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MPS program, consisting of four patient scenarios was applied to second-year nursing students with no prior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clinical reasoning ability, and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the multi-patient simulation program were measured using structured tool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Communication competenc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MPS program, whereas clinical reasoning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erceived effectiveness of the MPS program was generally high, with the debriefing component scoring the highest. Confidence scores were relatively low, suggesting the need for level-appropriate scenario. Conclusion: The MPS program was effectively enhanced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preclinical nursing students. Although clinical reasoning scores did not improve significantly,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troducing realistic simulation experiences early in nursing education.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developing suitable clinical reasoning assessment tools for early year students and conduct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customized MPS program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s of patient safety simulation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s attitude of patient safety,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 confidence in performance multidrug-resistant bacterial infection control, and nursing professionalism. Methods: In this study, 89 students from the 4th grade of the nursing department at one university participated,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ugust 20 to August 30,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R 4.3.2 version an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After education, the subjects' nursing professionalism(t=-5.95, p<.001), attitude of patient safety(t=-3.59, p<.001),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t=-3.90, p<.001),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multidrugresistant bacterial infection control(t=-5.55, p<.001)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ter educa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ttitude of patient safety(r=.43, p<.001),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r=.64, p<.001), confidence in performance multidrug-resistant bacterial infection control(r=.41, p=<.001).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of patient safety,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r=.47, p<.001), confidence in performance multidrug-resistant bacterial infection control(r=.37, p=<.001)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patient safety, confidence in performance multidrug-resistant bacterial infection control(r=.80, p<.001)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n order to strengthen effective patient safety management behavior,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ncrease immersion and proactiveness in education by developing and applying various scenarios related to patient safety in nursing management simulation education.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간호대학생들이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 성에 대해 가지는 인식 유형을 탐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간호대 학생들이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유형화하는 것이 며, 둘째, 간호사의 핵심 역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 과, 간호대학생들이 인식하는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은 세 가지 주요 유 형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환자 중심 및 전문적 지식과 기술 중심형은 간 호사가 환자와의 신뢰 관계 형성, 정서적 지지, 전인적 접근을 강조하면 서도 최신 의료 기술과 전문적 지식 습득에 중점을 두는 유형이다. 둘째, 환자 중심형은 간호사가 환자와의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효과적인 의사 소통을 통해 공정하고 평등한 간호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둔다. 셋째, 환 자 중심 및 윤리와 가치관 중심형은 간호사의 윤리적 책임, 환자 권리 보 호, 공정한 간호 제공을 중시하며, 간호사가 사회적 책임을 수행해야 한 다는 점을 강조하는 유형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이 간호사의 전문 직 정체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각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체 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간호 교육과정에서 환자 중심 접근, 전문적 지식 과 기술 습득, 윤리적 가치관 함양을 균형 있게 반영할 필요성을 제시하 였다. 연구 결과는 간호 교육 및 임상 실습 과정에서 간호사의 핵심 역할 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방향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