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Examination of 19th-Century Muju-bu in Jeolla-do, Joseon, Through the ‘Hongdeungjunggi’ : With a Focus on Military Affairs and the Gyobang
우리가 한국사의 전체상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작은 부 분들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렇기에 한국사 연구의 심화와 지방사 연구의 발전을 위해 조선시대 지방 군현의 실태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 논문 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19세기 조선시대 전라도 무주부라는 지방 군현의 실제 모습을 홍등중기라는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이다. 19세기 조선에서 크게 알려 지지 않은 지방 군현의 실태를 파악하기 어려운 가장 큰 이유가 사료의 부족이다. 그렇 기에 본 연구는 홍등중기라는 사료를 통해 그 실태에 접근하고자 한다. 이제까지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작성 당시의 지방 군현의 실태를 가장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바로 중기(重記)이다. 특히 이 자료에서 다른 곳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두 가지 내용에 주목하였다. 첫째는 19세기 조선에서 가장 중요했던 지방의 군비(軍備) 관련 내용이다. 둘째는 다른 지방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교방(敎房)과 교방청 물목(敎坊廳 物目)에 대한 내용이다. 이를 통해 19세기 조선의 지방 군현이었던 전라도 무주부의 군비 실태와 교 방 문화의 실상에 다가서고자 하였다. 또한 이 중기 자료를 중심으로 각종 관찬 자료와 읍지(邑誌) 등의 자료를 통해 19세기 조선 전라도 무주부라는 지방 군현의 실체에 접근하 고자 노력하였다. 이 연구가 한국 지방사를 이해하는 데 작은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In order to deepen the study of Korean history and develop the study of local histor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local counties and districts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paper examines the actual state of local counties and districts in Muju-bu, Jeolla-do, in the 19th century Joseon Dynasty, focusing on the material called Hongdeungjunggi(洪等重記). Although i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until now, the material that allows us to most accurately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local counties and districts at the time of its creation is Junggi (重記). In particular, I focused on two contents in this material that are difficult to find elsewhere. The first is the content related to local military equipment,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in 19th century Joseon. The second is the content on Gyobang (敎房) and Gyobangcheong Mulmok (敎坊廳 物目), which is difficult to find in other regions. Through this, I tried to approach the actual state of military equipment and Gyobang culture in Muju-bu, Jeolla-do, a local countie in 19th century Joseon. In addition, based on this mid-term data, we tried to approach the reality of Muju-bu, a local county in Jeolla-do, Joseon in the 19th century, through various government-published data and local history record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of some help in understanding Korean local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