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기 계측을 통한 일체식 교대 교량의 구조 거동 안정성과 수치 해석 모델의 적용성 검증 KCI 등재

Long-term Measurements of Integral Abutment Bridges to Verify the Stability of Structural Behavior and Applicability of a Numerical Analysis Mod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6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전산구조공학회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일체식 교대 교량 공법은 1930년대부터 미국과 캐나다에서 적용되었으나, 국내에서는 공용 기간이 짧아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경 험이 부족하다. 또한, 장기 거동에 대한 추적 데이터가 부족해 설계 시 예측한 구조 거동의 안정성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공 용 중인 일체식 교대 교량을 대상으로 장기 계측을 수행하고,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수치 해석 모델을 적용해 구조 안정성과 모델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계절적 온도 변화에 따른 변위 값의 크기와 변화 형상을 정성적으로 평가하고, 실측과 수치 해석 변위 값을 t 검 정으로 비교해 정량적 검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 교량들은 예측 값과 실측 값이 큰 오차 없이 안정적인 구조 거동을 보였다. 일부 교량에서는 교대 밀림으로 인한 신축 이음 축소와 교대 벽체 및 거더부 협착이 관찰되었다. 모델링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지반- 교대 스프링 강성과 교좌 전단 강성을 설계 값보다 높게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Integral abutment bridges have been applied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since the 1930s. However, in Korea, their service period has been relatively short, resulting in a lack of experience in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dditionally, owing to the absence of long-term measurement data, the stability of the predicted structural behavior should be verified during the design phase. This study conducted long-term measurements on in-service integral abutment bridges in Korea and applied a numerical analysis model proposed in a previous paper to verify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model. The displacement magnitude and pattern changes owing to seasonal temperature variations were qualitatively evaluated, and a quantitative validation was performed by comparing the measured and predicted displacement values using a t-tes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target bridges exhibited stable structural behavior with minimal deviation between predicted and measured values. However, in some bridges, the contraction of expansion joints and contact between abutment walls and girders due to abutment creeping were observed. To improve modeling accuracy, we incorporated higher values for the soil-abutment spring stiffness and bearing shear stiffness than that suggested by the design specifications.

목차
Abstract
1. 서 론
2. 대상 교량
    2.1 교량 제원 및 수치 해석 모델
    2.2 교량 계측
3. 수치 해석
    3.1 개요
    3.2 해석 결과
4. 현장 조건을 반영한 모델링 보정 및 해석
    4.1 개요
    4.2 변수 선정 및 민감도 해석
    4.3 변수 조합에 따른 수치 해석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요 지
저자
  • 김승원(부경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 Seung-Won Kim (Graduate Student, Deparment of Civi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Korea)
  • 노치욱(부경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 Chi-Oug Noh (Graduate Student, Deparment of Civi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Korea)
  • 김재언(부경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과정) | Jae-Un Kim (Graduate Student, Deparment of Civi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Korea)
  • 이찬호(건화 엔지니어링 사원) | Chan-Ho Lee (Staff, Kunhwa Engineering & Consulting Co., Ltd., Seoul, 06151, Korea)
  • 이환우(부경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 | Hwan-Woo Lee (Professor, Deparment of Civi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