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Influence of game usage and VR game correlation between game usage and perceived satisfaction KCI 등재

게임 이용량과 VR 게임 상관관계 및 지각된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6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한국컴퓨터게임학회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초록

VR 게임이란 전용 디바이스를 통해 외부와 차단된 디지털 환경에서 현실과 거의 흡사한 상 황을 디지털로 구현한 게임이다. 최근 애플이나 메타 등 빅테크 기업이 고해상도, 가격 대중화 HMD를 출시하며, 시장 확대 가능성이 높아졌다. 본 연구를 통해, 게임 이용량이 높을수록 VR 게임 사용량이 많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게임 시간 정도가 많을수록 VR 게임의 지각된 만족도(지속적 이용의도, 몰입, 개인 혁신성, 지각된 비용) 정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VR games using this technology are games enjoyed in an environment blocked from the outside through a dedicated device. The possibility of market expansion has increased as big tech companies such as Apple and Meta recently released high-resolution and price popularization HMD. Through this study, the higher the amount of use of the game, the greater the amount of VR game use. In addition, the higher the amount of game time, the higher the perceived satisfaction (continuous use intention, immersion, personal innovation, and perceived cost) of VR games.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Background
    2.1 Related Research
3. Research Design
    3.1 Definitions of Major Concepts andMeasurement Methods
    3.2 Research Problems and Hypotheses
    3.3 Methods
4. Results
    4.1 Correlation
    4.2 Verification and Proof of ResearchQuestions
5. Conclusion
Acknowledgement
References
<국문초록>
<결론 및 향후 연구>

저자
  • Ji-Young NA(Department of Virtual Reality, Namseoul University) | 나지영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