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tudy on Representation of Light in the Digital Video Lotus Garden, 1899 Using a Game Engine – Focusing 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Monet's Impressionist Works KCI 등재

게임 엔진을 활용한 디지털 영상 의 빛 표현 연구 - 인상주의 모네 작품의 영상 특성을 중심으로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62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한국컴퓨터게임학회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초록

19세기 사진의 등장은 화가들의 리얼리즘과 빛, 색채에 대한 탐구를 심화시켰으며, 모네는 인 상주의의 대표 화가로 빛과 시간의 변화를 통한 새로운 미학을 모색하였다. <Lotus Garden, 1899>(2023)는 게임 엔진으로 활용되고 있는 언리얼 엔진 5를 활용하여 모네의 빛 표현을 디 지털 영상으로 재현한 작품으로, Epic Games Unreal Challenge 학생부 우수작, 2024 GDC Unreal Creator Showcase에 선정되었다. 본 연구는 모네 회화와 사진 매체의 접점을 ‘빛’으 로 정의하고 작품에서 드러난 영상 특성을 분석한 강석범, 전병호(2006)의 연구를 바탕으로, <Lotus Garden, 1899>의 사례를 통해 모네의 주요 빛 표현 특성을 네 가지로 분류하여 언리 얼 엔진 5로 구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주요 구현 방식은 첫째, 시간에 따른 빛의 표현 : Ultra Dynamic Sky 시스템을 활용해 시간대별 대기와 태양의 고도 변화를 시뮬레이션하였 다, 둘째, 빛의 산란 : Post Processing Layer를 통해 빛 산란 효과를 적용하여 강렬한 태양 빛의 극적 효과를 구현하였다, 셋째, 사진 기법을 통한 움직임의 포착 : 아웃포커싱과 풀샷 기 법을 통해 움직임이 있는 인상을 포착하고, Cine Camera를 활용해 이를 구현하였다. 넷째, 영상화 : ‘Sequencer’를 통한 빛 표현의 영상화이다.

The advent of photography in the 19th century deepened artists' exploration of realism, light, and color, and Monet was a representative painter of Impressionism, seeking a new aesthetic through the change of light and time. <Lotus Garden, 1899> (2023) is a digital image reproduction of Monet's light expression using Unreal Engine 5, which is used as a game engine, and was selected as the outstanding student work by Epic Games by Epic Games Unreal Challenge and 2024 GDC Unreal Creator Showcase. Based on the research of Kang Seok-beom and Jeon Byeong-ho (2006), who defined the contact point between Monet's painting and photographic medium as 'light' and analyzed the imag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the work, this study presented a method of classifying Monet's main light expression characteristics into four categories and implementing them as Unreal Engine 5 through the case of <Lotus Garden, 1899>. The key implementation methods includes the following: first, representation of light over time, where the Ultra Dynamic Sky system was utilized to simulate atmospheric conditions and changes in solar altitude according to the time of day; second, light scattering, achieved through the Post Processing Layer to create dramatic effects of intense sunlight; third, capturing motion through photographic techniques, by employing out-focusing and full-shot techniques, implemented using a Cine Camera; and fourth, visualization, where light representation was visualized using Sequencer.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1.1 Background and Context of the Study
    1.2 Research Method
2. Main Content
    2.1 Representation of Light Over Time
    2.2 Implementing light scattering
    2.3 Photographic Techniques for MotionRepresentation
    2.4 Visualization
3. Conclusion
Acknowledgment
Reference
<국문초록>
<결론 및 향후 연구>

저자
  • Chae One Kim(Animation, Chung-Ang University, 84 Heuk-seok ro, Dong-jak-Gu, Seoul, 06974, Republic of Korea) | 김채원
  • Tak Hoon KIM(Animation, Chung-Ang University, 84 Heuk-seok ro, Dong-jak-Gu, Seoul, 06974, Republic of Korea) | 김탁훈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