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시비처리 따른 낙우송(Taxodium distichum) 용기묘의 생장 특성 및 품질 지수를 평가하였다. 시비처리 결과, 낙우송 용기묘는 대조구에 비해 모든 시비처리구에서 높은 생장량을 보였으며, 중강도(1.5 g·L-1)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묘고와 근원경 생장을 나타냈다. 또한, 부위별 건물생산량 과 묘목품질지수(SQI)에서 중강도 처리구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이는 시비가 낙우송 용기묘의 양분 및 수분 흡수 효율을 증가시키고 생장을 촉진하는 데 기여했음을 의미한다. 엽록소 함량 분석 결과, 시비처리구에서 엽록소 a와 b의 총 함량이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엽록소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엽록소의 비(a/b)는 대조구가 더 높은 값을 보였고, 이는 시비처리가 엽록소 a보다는 엽록소 b에 더 큰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낸다. 종합적으로, 낙우송 용기묘의 시비처리에 따른 생장 특성은 대조구에 비해 시비처리구가 생육 및 생리적으로 높은 생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시비처리에 따른 낙우송 1-0용기묘의 생육 및 생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생산체계 구축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evaluated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quality indices of Taxodium distichum container seedlings under different fertilization treatment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fertilization treatments resulted in higher growth compared to the control, with the medium-strength (1.5 g·L-1) treatment exhibiting the highest seedling height and root collar diameter. Additionally, the medium-strength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biomass production per plant part and seedling quality index (SQI), suggesting that fertilization increased nutrient and water absorption efficiency and promoted growth. Chlorophyll content analysis revealed that the total chlorophyll a and b contents in the fertilized treatments were higher than in the control, and chlorophyll content generally increased with higher fertilization levels. However, the chlorophyll a/b ratio was higher in the control, indicating that fertilization had a greater impact on chlorophyll b production than on chlorophyll a. In conclusi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 distichum container seedlings under fertilization treatments showed higher growth both physiologically and morphologically compared to the control. This study analyzed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 distichum 1-0 container seedlings under different fertilization treatments and aims to provid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production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