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촌지역개발사업 주민 간 갈등 양상에 관한 연구 : 거창군 도시재생지원사업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Patterns of Conflict Among Rural Residents : Focusing o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Geochang Coun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6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농촌개발사업에서 주민 참여 과정 중 발생하는 갈등 패턴을 이해하기 위해, 프로젝트 의사결정 과정뿐 아니라 사전에 존재하는 마을 주민 간 사회적 관계와 잠재적 갈등을 함께 고려하는 분석 틀을 제시하였다. 농촌 공동체의 특성이 갈등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검토한 뒤, 경남 거창군 도시재생지원사업 사례에 적용하여 사업 담당자의 관점에서 갈등의 시간적 흐름과 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갈등은 시간의 흐름과 표출 수준에 따라 격화, 유지, 타협의 세 가지 양상으로 구분되었으며, 이와 함께 외부 관찰자에게 드러나지 않는 ‘잠재 갈등’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사례 분석에서 김천지구는 주민 간 갈등이 최종적으로 타협 국면에 도달하는 수렴형 양상을 보였고, 대평지구는 갈등이 점차 격화되어 사업 자체가 포기되는 발산형·포기형 양상으로 나타났다. 상동지구는 갈등을 회피하는 과정이 반복되다 누적된 불만이 폭발적으로 표출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지역개발사업에서 주민 간 갈등이 단순히 의사결정 과정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부터 누적된 잠재적 갈등이 새로운 사업 추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 연구결과 활용 측면에서, 본 연구의 갈등양상 모형은 농촌지역개발사업에서 갈등 발생 시점과 표출 수준을 파악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업 담당자가 갈등의 흐름을 조기에 진단하고 중재 전략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갈등 강도와 사업 성패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presents an analytical framework to understand conflict patterns during resident participation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by considering not only the project decision-making process but also pre-existing social relationships and potential conflicts among villagers. Based on an in-depth review of how rural community characteristics influence conflict occurrence, the framework was applied to the Geochang County Urban Regeneration Support Project to analyze the temporal dynamics and intensity of conflicts from the perspective of project managers. The results showed that conflict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patterns—escalation, maintenance, and compromise— according to their temporal flow and level of expression, and also confirmed the existence of “latent conflicts” that are not visible to external observers. In the case studies, Kimcheon displayed a convergent type where conflicts ultimately reached compromise, Daepyeong showed divergent and abandonment types where conflicts escalated to the extent that the project was discontinued, and Sangdong exhibited repeated avoidance until accumulated grievances erupted explos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nflicts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arise not only during decision-making but are also influenced by long-standing latent tensions. In terms of practical implications, the proposed conflict pattern model can serve as a tool for identifying the timing and level of conflicts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It provides a basis for project managers to diagnose conflicts early and establish mediation strategies, while also laying the groundwork for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 intensity and project outcomes.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선행연구 고찰
    2. 갈등 양상 구분
    3. 사례조사
결과 및 고찰
    1. 거창군도시재생사업 지구별 갈등 양상
결과 및 고찰
References
저자
  • 장상규(경상국립대학교 농업경제학과 석사과정) | Jang Sang Gyu (Graduate student, Dept. of Agricultural Economic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 김윤식(경상국립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 및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Kim Yun Shik (Professor, Dept. of Food and Resource Economics, Inst. of Agric. and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