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대학 교양교육 거버넌스 유형과 과제 : 조직 구조와 운영 체계를 중심으로 KCI 등재

An Analysis of Governance Types in General Education at Korean Universities : Focusing on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Operational Syste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0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4차 산업혁명, AI, 학령인구 감소, 융복합교육 및 무전공 확대 등 급변하는 교 육 환경 속에서 국내 대학들은 교양교육 관련 전담 기관의 위상과 기능, 구조를 재정립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의 체계적이면서도 탄 력적인 운영을 위한 거버넌스에 초점을 맞추어 관련 주요 현황 및 사례, 운영 유 형 및 발전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2025년 3월과 8월, 대학 교양교육 거버넌스 운 영 현황을 조사하고 관련 문헌 및 자료 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교양교육 거버 넌스의 유형은 크게 학부대학형, 칼리지형(교양대학 등), 교육혁신본부형, 교양교 육본부형, 총장직속학부형, 교양교육원형 등이 있었다. 이는 대학별로 교양교육 조직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구조적 특징임을 알 수 있었다. 교양교육의 안정적 운 영을 위해서는 조직의 독립성 확보, 기관(장)의 위상 강화, 제도적 기반 구축, 교수 자 참여 확대 및 협력 거버넌스 등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대학의 전 략 및 학사 기획과 교양교육 조직 간의 연계 역시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는 교양교육 거버넌스의 주요 현황과 쟁점을 정리하여 대학 교양교육의 질적 개선 과 발전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고등교육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는 데 대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n response to the rapid transformation of higher education—driven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tificial intelligence, demographic decline, and the expansion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undeclared major programs—Korean universities are redefining the role and structure of general education institutions. This study examines governance models for systematic yet flexible general education operations, reviewing data, literature, and policy documents as of March and August 2025. Governance types were identified: undergraduate college, college-type, educational innovation headquarters, general education headquarters, president-affiliated faculty, and institute of general education, reflecting the structural diversity of general education organizations.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organizational independence, strengthened institutional authority, robust policy frameworks, expanded faculty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ve governance, along with alignment between general education governance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The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improving general education quality and sustainability, offering insights to inform future higher education policies.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대학 교양교육 거버넌스 관련 선행 연구 및 제도적 기반
    1. 대학 교양교육 전담 기관의 필요성과 제도적 요건
    2. 대학 교양교육 조직의 교육적 기능과 거버넌스적 역할 재정립
III. 연구방법
    1. 분석 대상
    2. 자료 수집 및 정리
Ⅳ. 대학 교양교육 거버넌스의 구조와 유형
    1. 학부대학
    2. 교양 관련 칼리지
    3. 교육혁신본부
    4. 교양교육본부
    5. 총장 직속 학부
    6. 교양교육원
V. 대학 교양교육 거버넌스 관련 주요 쟁점
    1. 교양교육 조직 구조와 권한 배분
    2. 운영 참여와 의사결정 방식
Ⅵ. 대학 교양교육 거버넌스의 과제와 발전 방안
    1. 거버넌스 구조 개선과 조직 정비
    2. 교양교육 거버넌스의 실행 기반 강화와 구성원 참여 확대
    3. 교수자 참여 활성화와 협력 거버넌스를 통한 교양교육 발전
    4. 교양교육 내실화를 위한 운영·인식 통합 발전 전략
Ⅶ.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
  • 전종희(국립강릉원주대학교) | Jeon Jonghe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