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역가치형 비즈니스모델 분석을 통한 지역문화의 경제적· 문화적 가치증진 방안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Economic and Cultural Value Improvement of Local Culture through the Analysis of Regional Value-Type Business Mod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0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지역가치형 로컬비즈니스모델 조사·분석을 통해, 지역가치형 로컬비즈니스모델이 지역의 경제적·문화적 가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특히 로컬비즈니스 모델 7개 분야 중 지역가치형 모델의 특징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가치형 로컬비즈니스모델을 통한 지역의 경제적·문화적 가치증 진을 위한 방안으로 첫째, 자원의 범위가 특정 소재와 콘텐츠로 제한되 지 않도록 주의하며 새로운 자원을 소재로 한 창작과 융합이 활성화되도 록 유도할 필요하며, 둘째, 지역자원의 고유한 특성이 최대한 반영되는 내용을 구성하며, 셋재, 지역성의 변형 또는 재창조의 범위에 대한 고민 이 필요하며, 넷째, 트랜드의 변화에 대응하는 마케팅 전략의 수립 및 운 용이 중요하며, 마지막으로 인력의 양성 및 지역사회를 변화시기키 위한 정책적 지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regional value-type local business models to suggest ways for regional value-type local business models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regional economic and cultural values. In particul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value model among the seven areas of the local business model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s a way to promote the economic and cultural value of the region through the regional value-type local business model, first, it is necessary to induce creation and convergence based on new resources to be activated by being careful not to limit the scope of resources to specific materials and cont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content that reflect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local resources as much as possible. Fourth,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d operate marketing strategies to respond to changes in trends. Finally, policy support to cultivate manpower and change local communities was proposed.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론 및 연구대상 자료
    1. 연구 방법 및 수행 절차
    2. 연구 질문
Ⅳ. 지역가치형 로컬비즈니스모델의 성과
    1. 로컬비즈니스모델 유형별 특징
    2. 지역가치형 로컬비즈니스모델의 성과
Ⅴ. 논의 및 발전방향
    1. 지역경제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2. 문화적 가치증진에 미치는 영향
    3. 지속가능한 개발에 미치는 영향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노영희(건국대학교) | Younghee Noh (Konku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