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문화적 도시재생에 의한 공간의 사회적 생산 사례 연구 : 이탈리아 Farm Cultural Park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Case Study on the Social Production of Space Through Cultural Urban Regeneration : Focused on the Farm Cultural Park in Ital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05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최근 창의성을 동력으로 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문화적 도시재생 사례가 확산하고 있다. 본 연구는 르 페브르(Henri Lefebvre)의 ‘공간의 사회적 생산’ 이론을 바탕으로, 이탈 리아 파바라(Favara)에 조성된 팜컬추럴파크(Farm Cultural Park) 사 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쇠퇴한 도시 공간이 사회적 필요에 의해 재탄 생하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연구 및 현장 관찰, 그 리고 설립자와 주민, 예술가 등 다양한 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 뷰를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공동체 회복이라는 ‘관념적 공간’은 초기 주민들의 저항에 부딪혔으나, 설립자의 지역 밀착형 소통 전략과 지역성 이 반영된 문화 프로그램의 적극적 도입을 통해 극복되었다. 이러한 실 천은 외면받던 역사 중심지를 방문과 체류의 장소로 바꾸며 새로운 ‘지 각적 공간’을 창출하는 기반으로 작용했다. 나아가 이 과정에서 축적된 경험은 주민들의 패배감을 문화적 자부심으로 전환함으로써 ‘생동적 공 간’을 탄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하나의 문화적 도시재생이 계획(관념), 실천(지각), 의미(생동)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쇠 퇴한 공간을 사회적으로 생산하고 나아가 차이공간(Differential Space) 으로 재탄생시키는지를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the Farm Cultural Park (FCP) in Favara, Italy, through the theoretical lens of Henri Lefebvre’s concept of the “social production of space”. The study explored how space is reconstituted in response to social needs. The methodology combines literature review, field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The findings reveal three key dimensions. First, the founder’s vision of community restoration, as a form of ‘conceived space’, initially met with local resistance, but gradually gained consensus through culturally grounded communication and practice. Second, this process converted the historic center, once a neglected area, into a site of everyday experience and interaction, thereby creating a ‘perceived space’. Third, the accumulation of these experiences, reinforced by symbolic acts, gave rise to a ‘lived space’ that transformed narratives of defeat into a sense of pride. This case demonstrates how planned space can be reappropriated by users and reemerge as a ‘differential space’, a site imbued with unique identity and meaning, highlighting the role of creative agency in cultural urban regeneration.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문화적 도시재생
    2.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의 사회적 생산’
    3. 공간의 사회적 생산 관점에서 본 문화적 도시재생
III. 연구 방법 및 분석
    1. 연구 문제
    2. 연구 사례 - Farm Cultural Park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회수(홍익대학교) | Hoesoo Lee (Hongik University)
  • 김선영(홍익대학교) | Sunyoung Kim (Hongi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