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상 유도전동기 기술 혁신 경로를 이해하기 위한 특허 기반 네트워크 분석 KCI 등재

Patent-Based Network Analysis for Understanding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athways of Multi-Phase Induction Moto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1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000원
기술혁신연구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기술경영경제학회 (The Korea Society for Innovation Management & Economics)
초록

다상 유도 전동기는 전력 변환 효율이 높은 전동기이다. 이와 같은 고효율 전동 기는 다양한 산업의 전기 수요가 증가하면서 더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이나 국가가 적절한 전략을 세우기 위해 다상 유도 전동기 기술의 현 위치 확인과 미래 예측이 필 요하다. 다상 유도 전동기의 현 위치 파악과 미래 기술을 탐색하기 위해, 본 연구는 특허 네 트워크 경로 분석을 1902년부터 2024년까지의 특허 중 기술분류명(CPC H02K17/12 : 다상 비동기 유도전동기)에 적용한다. 그 결과, 미국과 유럽 기업이 전반적인 기술 개발을 주도하 였으며, 2010년 이후 중국 기업이 기술 개발을 급격히 늘렸음을 확인하였다. 네트워크 군집 분석 결과, 기계적 구조 개선 기술(전기 권선 및 극수 변환), 전기적 연결 기술(전류 파형 및 순서 변경), 스마트 융합 기술(센서+전기제어+전동기 구조 개선)의 세 가지 군집이 확인되었 다. 핵심 기술 경로 분석 결과,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경쟁 우위 기업과 실제 기술적 영향력이 있는 기업 간의 차이가 존재했다.

A multiphase induction motor is a motor with high power conversion efficiency. As the demand for electricity increases across various industries, the need for such high-efficiency motors is growing. In this context, verifying and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prospects of multiphase induction motor technology is essential for companies and nations to establish appropriate strategies.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advancements of multiphase induction motors, this study applies patent network path analysis to patents classified under Multi-phase motors(CPC H02K17/12 : 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for multi-phase current) from 1902 to 2024. The findings indicate that U.S and European companies initially led technological developments, while Chinese companie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technological advancements since 2010. Network clustering analysis identified three main clusters: mechanical structure improvement technologies(electric winding and pole-changing), electrical connection technologies(current waveform and sequence conversion), and smart convergence technologies(integration of sensors, electric control, and motor structure improvement). Furthermore, key technology path analysis revealed a discrepancy between companies commonly recognized as having a competitive advantage and those with actual technological influence.

목차
국문초록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다상 유도전동기(Multi-phase Induction Motor)
    2.2. 다상 유도 전동기 기술과 관련된 연구 동향
    2.3. 특허 정보 및 네트워크 분석
    2.4. 기술 경로(Technology Route, TR) 분석 및 기술 예측
Ⅲ. 연구 설계
    3.1. 특허 네트워크 분석 지표
    3.2. 기술 클러스터 및 핵심특허 도출
Ⅳ. 실증 분석
    1. 연구 조사
    2. 특허 네트워크 분석 및 기술 경로 분석(TR) 모형 검증
Ⅴ. 결론
    1. 연구 요약 및 결론
    2.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저자
  • 박성원(연세대학교 기술정책협동 박사과정) | Seongwon Park
  • 김민제(연세대학교 혁신학과 석사과정) | Minje Kim
  • 이기헌(연세대학교 창의기술경영 교수) | Keeheon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