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원문화의 확산과 농촌이주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빅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여 농촌공간의 사회적·정서적 가치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최근 치유농업, 정신건강 증진, 농촌 정주 촉진 등 국가적 정책 흐름 속에서 정원과 농촌 이주가 어떻게 디지털 공간에서 담론화되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네이버와 다음의 블로그 및 카페로부터 2015년 7월부터 2024년까지 수집된 비정형 데이터를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방법으 로는 키워드 빈도분석, TF-IDF, N-gram 연결망 분석, Louvain 클러스터링, 감성분석을 활용하였 다. 분석 결과 귀농귀촌은 ‘교육’, ‘지원’, ‘주택’ 등의 제도적 기반에 대한 관심이 강하게 나타났 으며, 귀촌정원은 ‘꽃’, ‘전원주택’, ‘텃밭’ 등 정서적 만족과 자연 친화적 주거 환경에 대한 수요를 보여주었다. 농촌정원은 ‘체험’, ‘마을’, ‘자연’ 등 공동체 기반의 참여형 콘텐츠로 인식되 고 있었다. 클러스터 분석에서는 정책수혜형, 감성치유형, 공동체정착형, 예술창작형 등 다층적 인 귀농 및 정원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감성분석 결과 전체 텍스트의 80% 이상이 긍정적 감정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농촌 정원과 귀농귀촌 활동이 단순한 공간 활용이나 이주를 넘어 정서적 공감, 정책적 수혜, 문화적 창작의 플랫폼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는 향후 정원산업 진흥, 치유농업 활성화, 농촌 정주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social and emotional value of rural spaces by analyzing the diffusion of garden culture and public perceptions of rural migration using big data. In the context of national policy trends such as healing agriculture, mental health promotion, and support for rural resettlement, the discourse surrounding gardens and rural migration has become increasingly visible in digital platforms. Text mining techniques were applied to unstructured data collected from Naver and Daum blogs and online communities between July 2015 and 2024. The analysis included keyword frequency analysis, TF-IDF, N-gram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Louvain clustering, and sentiment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discussions on return migration focus strongly on institutional elements such as “education,” “support,” and “housing,” while rural gardens are largely associated with participatory, community-based experiences linked to “village,” “nature,” and “healing.” The Louvain clustering identified multi-layered types of rural narratives including policy-driven return migration, emotional healing gardens, community-based settlement, and creative/artistic gardening. Sentiment analysis showed that over 80% of expressions were positive, with frequent use of emotionally charged words such as “natural,” “happy,” and “beautiful”. This study reveals that rural gardens and return migration spaces function as platforms for emotional connection, cultural creation, and policy engagement—beyond their roles as physical or residential spaces. The findings offer valuable insights for the promotion of the garden industry, the advancement of healing agriculture, and the formulation of rural resettlement and well-being poli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