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long Education Healing Program from Postmodernism : A Comparative Case Study between Korea and Canada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철학을 분석틀로 하여 한국과 캐나다의 평생교육 치유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고, 평생교육의 새로운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 구와 비교사례연구를 활용하였으며, 한국에서는 예술치유와 숲치 유 중심의 프로그램을, 캐나다에서는 다문화주의와 공동체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두 나라의 프로그램 모두 학습자의 정서적 안정과 성장을 촉진하는 공통점 을 지녔으나, 한국은 개인적 치유 중심, 캐나다는 공동체적 치유 와 사회적 통합 중심이라는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한 국의 평생교육이 앞으로 치유적 기능을 강화하고 공동체적 포용 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함을 보여주며, 포스트모더니 즘 교육철학이 실제 현장에 반영될 수 있는 실천적 가능성을 확 인하는 데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다만 본 연구는 문헌 및 사례 분석에 국한되어 실증자료를 포함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국가를 대상으로 양적·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평생교육의 치유적 효과를 구체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lifelong education healing programs in Korea and Canada based on the postmodern educational philosophy as an analysis framework, and sought a new direction for lifelong education. Literature studies and comparative case studies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and programs centered on art healing and forest healing were analyzed in Korea, and multiculturalism and community-based learning programs were analyzed in Canad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countries' programs had a common point of promoting learners' emotional stability and growth, but Korea was centered on personal healing and Canada was centered on community healing and social integration. These results show that lifelong education in Korea should develop in the future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healing functions and expanding community inclusion, and have academic significance in confirming the practical possibility that the postmodern educational philosophy can be reflected in the actual field. However, this study was limited to literature and case analysis, and did not include empirical data. Future research should incorporat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cross diverse countries to further validate the healing effects of lifelong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