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Healing Program for Older and Elderlycare based on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at Home
본 연구는 재가노인복지센터를 기반으로 한 노노케어 통합 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구성 원리와 회기별 모형을 탐색 적으로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전문가 검토를 병행하여 노노케어의 개념과 치유 가능성을 분석 하고, 재가노인복지센터 환경과 요양보호사의 역할을 반영해 프로 그램의 핵심 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은 상호 치 유성·현장 적합성·통합성 세 원리에 기초해 총 12회기로 설계되 었다. 초기 단계는 관계 형성과 기초 진단, 중기 단계는 신체·정 서·사회 기능 회복 활동, 후기 단계는 성과 공유와 지역사회 참 여로 구성된다. 주요 활동에는 스트레칭, 생활 자립 훈련, 회상 치료, 예술치유, 또래 상담, 지역사회 연계 활동이 포함된다. 기 대 효과는 첫째, 신체 기능 회복을 통한 자립성 강화, 둘째, 정 서 안정과 자아존중감 증진, 셋째, 사회적 고립 완화와 공동체 소속감 확대, 넷째, 요양보호사의 업무 부담 경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노케어를 제도적 기반 위에서 통합 치유 프로그램 으로 구체화함으로써 학문적·실천적 기여를 가진다. 다만 본 연 구는 탐색적 성격의 문헌연구와 전문가 검토에 의존했으므로, 향 후 실제 적용과 효과성 검증을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healing program for No-No Care based on community senior welfare centers and to exploratively present its structural principles and session models. A combined methodology of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consultation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ncept and therapeutic potential of No-No Care and to derive the program’s core components by reflecting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of community senior welfare centers and the role of care workers. The program was designed as a 12-session model grounded in three principles: mutual healing, field applicability, and integrativeness. The initial stage focuses on relationship-building and baseline assessment, the middle stage emphasizes activities for the recovery of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functions, and the final stage involves outcome sharing and community participation. Major activities include stretching, independent living training, reminiscence therapy, arts-based healing, peer counseling, and community linkage initiatives. The expected outcomes are: (1) strengthening autonomy through physical function recovery, (2) promoting emotional stability and self-esteem, (3) alleviating social isolation and fostering community belonging, and (4) reducing the workload of care workers. This study contributes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by conceptualizing No-No Care as an integrated healing program grounded in an institutional framework. However, since the study relies on an exploratory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consultation,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required to validate its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