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회복지사의 일터 영성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KCI 등재후보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Job Stress Among Social Work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6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자연치유재활복지융합연구(구 자연치유연구)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Rehabilitation Welfare Convergence Stud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일터 영성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삶의 질과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2025년 4월 20일부터 7월 20일까지 S시와 K시 소재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불완전하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49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사 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일터 영성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하는 역할을 검증하였다. 일터 영성은 업무 속에서 의미, 소명, 공동체, 초월성을 경험하는 심리적 요소로, 직무스트레스는 감정노동과 과중한 업무로 인해 심화될 수 있다. 연구 결과, 일터 영성은 사회적 지지와 정적 상관을, 직무스트레 스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적 지지는 직무스트레스를 완 충하는 매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사회복지 조직 내에서 의미 중심의 조직문화와 지지체계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s‘ workplace spirituality and job stress. Furthermore,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turnover intention,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0 to July 20, 2025, with 300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in S and K cities. Incomplete or insincere responses were excluded, and 249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job stress among social workers. Workplace spirituality is a psychological factor that fosters the experience of meaning, calling, community, and transcendence in work, while job stress can be exacerbated by emotional labor and excessive workload. The resul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social support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confirming that social support serves as a mediating variable that buffers job stress. This suggests the need to strengthen meaningcenter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support systems with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목차
요 약
Abstract
1. Introduction
2. Study method
    2.1 연구 대상
    2.2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2.3 측정 도구
    2.4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3. Results
    3.1 주요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
    3.2 연구문제 검증
4. Discussion & Conclusion
    4.1 연구 결과 요약
    4.2 논의
    4.3 결론 및 제언
    4.4 정책적 시사점
References
저자
  • 한순희(Hanbit World Corporate Corporation24893 Hanbit World Corporate Corporation, 4236, Donghae-daero, Sokcho-si, angwon-do, Republic of Korea) | Sunhee 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