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톰 아저씨의 오두막􋺸 속 세 예배의 충돌: 백인 주류, 퀘이커, 흑인 노예 예배에 대한 예배신학적 고찰 KCI 등재

Conflicting Worships in Uncle Tom’s Cabin: A Liturgical-Theological Reflection on White Mainstream, Quaker, and Enslaved Black Practic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6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문학과 종교 (Literature and Religion)
한국문학과종교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Literature and Religion)
초록

해리엇 비처 스토우의 􋺷톰 아저씨의 오두막􋺸은 19세기 미국 노예제 폐지 운 동의 중요한 문학적 산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 논문은 해당 작품을 예배신 학적 관점에서 재조명한다. 이 논문은 소설에 드러난 세 가지 상이한 예배 형태 —남부 백인 주류 교회의 권위적이고 제도화된 예배, 퀘이커 공동체의 평등하고 실천적인 예배, 흑인 노예 공동체의 고난 속 은밀한 예배—를 중심으로 예배 공 간, 예배자, 예배 내용이라는 세 축을 따라 예배신학의 틀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예배가 어떻게 억압의 도구로 작용하거나 반대로 해방의 통로가 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또한 문학비평과 예배신학의 학제적 접근을 통해 당대 미국 사회에서 예배가 지닌 정치적․사회적 의미를 해석하고, 오늘날 예배 공동체가 직면한 공 공성 회복과 억압적 구조에 대한 비판, 실천적 전환의 과제를 논의한다. 더 나아 가 주인공 톰의 순교적 신앙과 ‘삶의 예배’ 개념을 통해 기존 예배 전통을 넘어 서는 새로운 신학적 상상력을 제안하며, 예배의 본질과 공동체성, 영성에 대한 깊은 성찰을 시도한다. 이 논문은 􋺷톰 아저씨의 오두막􋺸의 예배 서사를 통해 오 늘날 예배가 억압과 해방의 어느 지점에 서 있는지 묻고, 21세기 한국 교회를 포 함한 현대 예배 공동체에 신학적 갱신과 반성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revisits Harriet Beecher Stowe’s Uncle Tom’s Cabin from the perspective of liturgical theology. Focusing on three distinct worship forms as depicted in the novel—the Southern white mainline church, the Quaker community, and the African American slave community—this paper analyzes them through three dimensions of liturgical theology: worship space, worshipers, and worship content. In addition, the paper interprets the political and social significance of worship in the context of the 19th-century American society and discusses contemporary challenges faced by worshiping communities, including the restoration of publicness, the critique of oppressive structures, and practical transformation. Ultimately, this study raises critical questions about the positioning of worship between oppression and liberation, thus offering theological renewal and reflective opportunities for modern worship communities, including those in the 21st-century Korean churches.

목차
Abstract
I. 들어가며
II. 백인 주류 예배: 제도화된 예배의 권력성과 배타성
    1. 예배 공간: 위계와 배제의 장소
    2. 예배자: 권력을 강화하는 설교자와 침묵하는 피지배자
    3. 예배 내용: 왜곡된 복음과 노예제의 신학화
    4. 예배의 신학적 평가
III. 퀘이커 공동체 예배: 내면적 실천과 평등의 영성
    1. 예배 공간: 탈제도적이고 일상화된 공간
    2. 예배자: 내면을 경청하는 평등한 존재
    3. 예배 내용: 침묵, 실천, 환대의 예배
    4. 예배의 신학적 평가
IV. 흑인 노예 공동체의 예배: 고난 속에서 드리는 해방적 예배
    1. 예배 공간: 고난의 성소인 숲과 오두막
    2. 예배자: 고난받는 몸과 영혼의 통합적 존재
    3. 예배 내용: 영가(spirituals), 몸짓, 그리고 공동체적 기억
    4. 예배의 신학적 평가
V. 톰의 순교 예배와 세 전통의 통합
    1. 순교의 예배: 삶을 바치는 믿음의 절정
    2. 세 예배 전통의 교차와 변형
    3. 예배신학의 확장: 저항이자 해방으로서의 예배
VI. 나가며: 오늘날 개신교 예배를 향한 신학적 질문
Works Cited
국문초록
저자
  • 이훈재(Assistant Professor of College of Theology at Sahmyook University, Seoul, Korea) | Hoonjae Lee
  • 노동욱(Associate Professor of Division of Liberal Studies for Creativity and Convergence at Sahmyook University, Seoul, Korea) | Dong-Wook Noh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