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취미활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장애인의 취미활동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8차 조사를 원자료로 활용하여, 등록 장애인 295명을 대상으로 매개효과 분석과 소벨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취미활동은 자기효능 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효능감도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취미활동과 자아존중감 사이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확인하 였다. 본 연구결과는 취미활동이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 서 장애인복지 실천 현장에서 취미활동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실패의 부담감이 적은 취미활동 프로그 램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how hobby activities affect self-esteem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mediated by self-efficacy. Using the data from The 8th Wave of the 2nd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and Sobel test on a sample of 295 registered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hobby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d self-efficacy, which in turn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Furthermor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bby activities and self-esteem was confirm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obby activities coul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a re-examination of the value of hobby activities within disability welfare practices, and recommends the active implementation of programs, particularly those that minimize the pressure of fail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