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남지역 휴게음식점에서 판매되는 디저트류의 타르색소 함량 및 위해성 평가 KCI 등재

Content and Risk Assessment of Tar Colors in Desserts Sold at Food Courts and Cafeterias in Gyeongsangnam-d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7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연구는 경남지역 휴게음식점에서 판매되는 디저트류 를 대상으로 타르색소의 함량을 조사하고 위해성을 평가 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 대상은 2024년 3월부터 10월까 지 수거한 마카롱, 머랭쿠키, 케이크, 음료, 캔디 등 총 100 건의 시료였으며, 국내 허용 타르색소 9종을 UPLC-PDA 로 정량 분석하였다. 전체 평균 검출률은 59.0%였으며, 마 카롱(96.2%)과 케이크(76.5%)에서 높은 검출률을 보인 반 면, 캔디류에서는 타르색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평균 함량 은 머랭쿠키(56.05 mg/kg)와 마카롱(46.99 mg/kg)에서 높 게 나타났고, B1과 R40 색소가 가장 빈번히 검출되었다. 총 39건의 시료에서 2종에서 5종의 색소가 병용 검출되었 으며, 특히 머랭쿠키에서는 병용 기준을 초과한 사례가 확 인되었다. 기준 초과한 품목을 포함한 위해도 평가 결과 0.00-17.72%의 수준으로 나타나 안전한 범위 내에 있었다. 다만, 식품섭취량 자료에 마카롱, 머랭쿠키 등 특정 품목 의 세부 섭취량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이와 유사한 제품 군(snack)의 평균 섭취량을 대체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평가 결과는 실제 섭취 수준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 며, 일부 섭취량은 과대 또는 과소 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 다. 그러나 색소 병용 사용의 빈도와 기준 초과 사례는 자 가품질검사 의무가 없는 휴게음식점에서의 안전성 관리 취 약성을 반영하며, 향후 이들 업소를 대상으로 한 타르색소 사용 기준 교육 및 체계적인 모니터링 등 안전 관리가 필 요하다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aimed to analyze the tar color content and assess the associated health risks in desserts sold at food courts and cafeterias in Gyeongsangnam-do. A total of 100 samples were analyzed for nine tar colors permitted in Korea using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with a photodiode array detector (PDA). The overall detection rate was 59.0%, with the highest rates in macarons (96.2%) and cakes (76.5%). No tar color was detected in candies. The highest average concentrations were found in meringue cookies (56.05 mg/kg) and macarons (46.99 mg/kg). Brilliant Blue FCF (B1) and Allura Red (R40) were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whereas R40 and Sunset Yellow FCF (Y5) had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s. The combined use of two to five colorants was frequently observed, particularly in meringue cookies, with one case exceeding the permissible limit. The risk assessment showed that tar color exposure from dessert consumption was 0.00-17.72% of the acceptable daily intake (ADI), indicating no significant health risk. However, the frequent use of multiple colorants and their occasional overuse highlight the need for strengthened safety management, particularly in food courts and cafeterias that are not subject to mandatory quality inspections.

목차
ABSTRACT
Materials and Methods
    실험재료
    시약 및 표준품
    실험방법
    유효성 검증
    위해성 평가
Results and Discussion
    유효성 검증
    타르색소 검출 결과
    타르색소 병용 검출 결과
    위해성 평가
국문요약
Conflict of interests
ORCID
References
저자
  • 조민지(경상남도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Minji Jo (Food Analysis team, Gyeongsangnam-do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Jinju, Korea) Corresponding author
  • 탁진영(경상남도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Jinyeong Tak (Food Analysis team, Gyeongsangnam-do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Jinju, Korea)
  • 허윤정(경상남도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Yunjung Huh (Food Analysis team, Gyeongsangnam-do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Jinju, Korea)
  • 최연주(경상남도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Yeonju Choi (Food Analysis team, Gyeongsangnam-do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Jinju, Korea)
  • 이한주(경상남도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Hanju Lee (Food Analysis team, Gyeongsangnam-do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Jinju, Korea)
  • 박정길(경상남도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Jeonggil Park (Food Analysis team, Gyeongsangnam-do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Jinju, Korea)
  • 김혜정(경상남도 보건환경연구원 식품분석팀) | Hyejung Kim (Food Analysis team, Gyeongsangnam-do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Jinju,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