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삼양영탕 급성경구독성시험과 한국·중국·일본 문헌 비교 및 동물·인체 적용 용량에 대한 연구 KCI 등재

Acute Oral Toxicity Test of Insamyangyoung-tang and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Chinese, Japanese Literature, its Dosages Animal and Human Applica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7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인삼양영탕은 한국·중국·일본의 전통의약권에서 허약 개 선에 복용되는 14종 한약재로 구성된 의약품이다. 먼저 고 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적용하여 인삼양영탕 주요 물질을 규명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단회투여독성 시험기준에 따라 Sprague-Dawley 랫드 암수 각 5마리에게 0, 1,000, 2,000, 5,000 mg/kg 용량으로 단회 경구 투여하 였다. 시험 결과 사망한 랫드는 없었으며 일반 증상 및 부 검소견에서도 어떠한 이상 반응도 관찰되지 않아, 랫드에 서 인삼양영탕 반수 치사량(LD50)은 5,000 mg/kg 이상으로 판단되었다. 문헌조사를 통해 조사된 인삼양영탕 일반독 성시험 5건(일본 2건, 중국 2건, 한국 1건)에 따르면 개략 치사량(ALD)은 160,000 mg/kg 초과, LD50는 10,000 mg/kg 초과, 최대내성용량(MTD)은 160,000 mg/kg 초과한다고 보 고하였다. 랫드 무독성량 5,000 mg/kg을 기준으로 인체 등 가 용량 변환하면 인삼양영탕 최대안전권장복용량(MRSD) 은 4.1 g 또는 4.8 g이며, 한의서 기준 인삼양영탕 성인 1 일 복용량 28.3 g을 랫드 독성시험 투여 용량으로 변환하 면 34,750 mg/kg 또는 29,100 mg/kg이다. 인삼양영탕 안전 성 평가를 위하여 동물과 인체 종간 등가 용량을 계산하 여 보니, 동물 독성시험 투여 용량과 실제 환자 복용 용 량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음을 시사한다. 학계에서 는 전통적으로 확립된 한약처방 복용량에 대한 동물 독성 시험 평가시에 ICH 및 OECD 기준이외에 다각적인 투여 용량 검토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Insamyangyoung-tang (IYT; Renshenyangrong-tang in Chinese and Ninjinyoei-to in Japanese) is a traditional 14-herb formulation widely used in Korea, China, and Japan for overcoming fatigue. In this study, its major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ulti-component analysis. An acute single-dose oral test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guidelines. Sprague-Dawley rats (5 males and 5 females per group) were orally administered single IYT doses of 0, 1,000, 2,000, or 5,000 mg/kg. No deaths or abnormal clinical signs or gross pathological findings were observed, thus confirming the median lethal dose 50 (LD50) of IYT in rats to be greater than 5,000 mg/kg. A literature review identified five reports (2 from Japan, 2 from China, and 1 from Korea) on the general toxicity of IYT, which indicated a lethal dose exceeding 160,000 mg/kg, an LD50 greater than 10,000 mg/kg, and a maximum tolerated dose exceeding 160,000 mg/ kg. These findings suggest a lack of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oxicity dosages in animals suggested in the International Council for Harmonisation (ICH) and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guidelines and actual clinical dosages in humans. Given that dosages of traditional herbal formulations are already empirically well established for humans through extensive use, a multifaceted review of toxicity testing dosages in animals should be considered, moving beyond the current ICH and OECD guidelines.

목차
ABSTRACT
Materials and Methods
    시험재료 및 시료 제조
    시약 및 기기
    표준 용액 및 검액 조제
    HPLC 분석
    단회 독성시험 실험계
    문헌 검색
    일반증상 관찰 및 부검
    통계 분석
    동물 투여 용량과 인체 복용량 변환
Results and Discussion
    HPLC 분석
    독성 평가
    문헌 조사
    동물 독성시험 투여 량과 인체 복용량 상호 용량 변환
Acknowledgements
국문요약
Conflict of interests
ORCID
References
저자
  • 신현규(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과학연구부) | Hyeun-Kyoo Shin (Korea Medicine Science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Korea)
  • 서창섭(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과학연구부) | Chang-Seob Seo (Korea Medicine Science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Korea)
  • 이미영(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융합연구부) | Mee-Young Lee (Korea Medicine Convergence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