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무인센서카메라를 활용한 천왕봉에서 묘적령 구간에 서식하는 우제목 포유류의 서식지 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Habitat Usage for Artiodactyla on Chunwangbong to Myojeckryong Region, South Korea Using Camera Trap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48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는 백두대간보호지역의 천왕봉에서 묘적령 구간을 대상으로 무인센서카메라를 활용한 우제목 포유류의 상대 적 풍부도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서식지 요인의 구명을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지역은 공간적 규모가 크고 다양한 서식지 환경을 포함하고 있어 서식지 동질성 분석을 통해 선정된 3km×3km의 격자를 형성하여 30개의 조사구를 대상으로 2021년 4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서식지 요인과 우제목 포유류의 풍부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시가화·건조지역의 비율을 비롯하여 나지의 비율, 초지의 비율, 수계의 비율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패치의 평균 크기와 패치 크기의 편차, 패치 크기의 다양성, 패치의 총둘레 길이 역시 우제목 포유류의 풍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지역에서 우제목 포유류의 풍부도는 서식지 내 먹이를 비롯한 물의 가용성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서식지의 경관 구조는 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는 종 특이적 행동유형에 따른 서식지 이용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산림을 서식지로 활용하는 우제목 포유류의 서식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서식지 요인의 구명을 통해 우제목 포유류의 관리를 위한 기초 생태자료로서 의미가 높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dentified habitat factors affecting the relative abundance of Artiodactyla using camera trap in the region between Cheonwangbong and Myojeckryong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in South Korea from April 2021 to December 2023. The survey area was large and included diverse habitat environments. We partitioned the area into 3 km × 3 km grids and selected 30 of them based on a habitat heterogeneity, which included geographical and landscape values, analysis.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he habitat factor and the abundance of Artiodactyla in the study area showed that the ratio of urbanized and arid areas, the ratio of bare land, the ratio of grassland, and the ratio of water systems had an effect.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such as average patch size, patch size variability, and total circumferential length of patches also affected the abundance of Artiodactyla. These factors were primarily related to the availability of food and water resources. Furthermore, the impact of landscape characteristics on the abundance of Artiodactyla varied by species, reflecting species-specific habitat preferences influenced by behavioral traits. It is believed to be influenced by habitat use according to species-specific behavioral patter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considered significant as baseline ecological data for managing Artiodactyla populations in mountainous habitats on the Korean Peninsula.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2. 조사분석
결과 및 고찰
REFERENCES
저자
  • 황현수(국립생태원 보호지역팀 전문위원) | Hyun-Su Hwang (Protected Area Research Team, National Institute Ecology, 1210 Geumgang-ro, Seocheon 33657, Korea) Corresponding author
  • 김혜진(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박사과정) | Hye-Jin Kim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University, 1 Gwanak-ro, Gwanak-gu, Seoul 08826, Korea)
  • 신현철(국립생태원 보호지역팀 팀장) | Hyun-Chul Shin (Protected Area Research Team, National Institute Ecology, 1210 Geumgang-ro, Seocheon 33657, Korea)
  • 권효정(국립생태원 보호지역팀 전문위원) | Hyo-Jeong Kwon (Protected Area Research Team, National Institute Ecology, 1210 Geumgang-ro, Seocheon 33657,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