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초점 안경을 착용한 근시안 소아의 교정굴절력 및 안축장 분석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단초점 안경을 착용한 근시안 소아를 대상으로 일정 기간 동안 교정굴절력 및 안축장의 변화를 추적 관찰하고, 연령 및 성별에 따른 변화 양상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방법 : 근시완화 렌즈 착용 등의 경험이 없는 단초점 안경을 착용한 근시안 소아(n=27안)를 대상으로, 굴절 검 사와 안축장 측정을 시행하고 6개월 후 추적 측정을 통해 교정굴절력 및 안축장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7세에서 11세 사이의 소아 중 안과적 질환이 없고, 안경 이외의 근시 억제 처치를 받지 않은 자로 제한하였다. 교 정굴절력 및 안축장 변화는 초기값과 추적값 간의 차이로 산출하였으며,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 초 기 교정굴절력과 안축장 변화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31.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자(n=27안)의 평균 안축장은 초기 24.03±1.12 mm에서 6개월 후 24.31 ±1.15 mm로 증가 하였으며, 평균 0.28±0.18 mm의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연령군 비교에서는 7–8세군(n=14안)이 평균 0.37± 0.19 mm 증가한 반면, 9–11세군(n=13안)은 0.18±0.10 mm 증가하였고, 두 군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 였다(p=0.003). 성별에 따라 남아(n=14안)는 평균 0.32±0.21 mm, 여아(n=13안)는 0.24±0.14 mm 증가하였 으며, 두 군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218). 초기 교정굴절력과 안축장 증가량 간의 상관관계 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325). 안축장에 대해 교정굴절력, 각막곡률, 동공크기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하였고, 모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단초점 안경을 착용한 소아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안축장 증가가 관찰되었으 며, 만 7세에서 11세 사이의 연령대 중 특히 7–8세군에서 더 빠른 성장 경향이 확인되었다. 성별과 초기 교정굴절 력과의 상관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안축장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교정굴절력, 각막곡률, 동공크기 모두 유의한 상 관관계가 나타났다. 12개월까지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7안을 대상으로 평균 교정굴절력은 –0.62 D, 안축장은 0.42 mm 증가하였다. 향후에는 더 많은 수의 대상을 통한 연령별 안축장 변화 분석이 필요하며, 본 연구 결과는 근시 진행 및 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longitudinally evaluate changes in corrective power and axial length in myopic children wearing single-vision spectacles, and to compare these change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Methods : A total of 27 eyes from myopic children aged 7 to 11 years, who wore single-vision spectacles and had no prior experience with myopia control lenses or other interventions, were included.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were compar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orrective power and axial elongation was analyzed.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31.0 (SPSS Inc., Chicago, IL, USA). Results : The average axial length of all subjects (n = 27 eyes) increased significantly by 0.28 mm, from 24.03±1.12 mm at baseline to 24.31 mm after 6 months. In the age group comparison, the 7–8 years group (n=14 eyes) showed an average elongation of 0.37±0.19 mm, while the 9–11 years group (n=13 eyes) showed 0.18 mm.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3). According to gender, males (n=14 eyes) showed an average increase of 0.32±0.21 mm and females (n=13 eyes) showed 0.24±0.14 mm,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218). Conclusion : In this study of myopic children wearing single-vision spectacles, significant increases in corrective power and axial length were observed over a six-month period, with more rapid elongation found in the 7 to 8 years age group among children aged 9 to 11 years. Further studies with larger populations are needed to clarify age-related axial elongation trends, and the present findings may serve as a foundation for future strategies in myopia management and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