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대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결정성 이론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국 내 대기업에 재직 중인 근로자 461명의 데이터를 구조방정식 모델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코칭리더십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코칭리더십은 심리적 안전감에 유 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심리적 안전감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안전감은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 간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코칭리더십, 심리적 안전감, 그리고 혁신행동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 로 검증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자기결정성 이론의 관점으로 접근하여 리더십이 조직의 혁신을 촉진하는 과정을 다각도로 이해하는데 기여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saf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in large domestic corporations. For this purpose, a research model grounded in self-determination theory was developed, and data from 461 employees of large domestic corporation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aching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Second, coaching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sychological safety. Third, psychological safe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Finally, psychological safety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ovides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coaching leadership, psychological safety, and innovative behavior. Additionally, by approaching these relationships from the perspective of self-determination theory, it contributes to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ow leadership promotes innovation within organiz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the study'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