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한 조건하에서 팬텀을 이용한 SENSE 와 Compressed SENSE 의 성능 비교
본 연구는 대표적인 병렬영상기법인 SENSE와 Compressed SENSE의 성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동일한 조건하에 팬텀 실험을 통해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인공물이 발생하지 않는 1.0 가속 인자를 기준으로 5.0까지 0.5 간격씩 두 가지 기법 별 가속인자 변화에 따른 팬텀 영상을 획득한 후, 방사선사 30명이 5점 척도로 영상을 평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판단하였다. 연구결과 Compressed SENSE는 SENSE에 비해 가속 인자를 증가시 킬수록 시간 단축 효과가 크고, 영상 품질 유지 능력이 우수하여, T1 강조영상은 2.5(SENSE는 1.5), T2 강조영상 은 2.0까지(SENSE는 1.5) 인공물이 발생하지 않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이는, Compressed SENSE가 가속 인자를 증가시킨 고속 촬영 환경에서도 영상 품질의 저하를 상대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Compressed SENSE의 특성을 잘 활용한다면 움직임에 민감한 환자나 촬영 시간이 제한적인 임상 환경에서 유용하 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wo representative parallel imaging techniques, SENSE and Compressed SENSE, under identical conditions using a phantom-based experiment. Baseline images were acquired with an acceleration factor of 1.0, free of artifacts, and additional datasets were obtained by incrementally increasing the acceleration factor in 0.5 steps up to 5.0 for both techniques. Thirty radiologic technologists independently evaluated the images using a standardized five-point scale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age quality. The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with SENSE, Compressed SENSE achieved greater reductions in acquisition time and demonstrated superior preservation of image quality as the acceleration factor increased. Artifact-free images were obtained up to an acceleration factor of 2.5 for T1-weighted imaging (vs 1.5 with SENSE) and up to 2.0 for T2-weighted imaging (vs 1.5 with SENSE), indicating that Compressed SENSE more effectively suppresses image degradation in high-speed acquisition setting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mpressed SENSE may provide substantial advantages in clinical settings where patient motion is likely or scan time is limited, thereby enhancing the robustness and applicability of parallel imaging in routine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