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Picture Book-Based Music Storytelling Simulation Lesson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s Toward Music Activities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음악동화 모의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과 음악활동에 대한 태도 향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N시 소재 4년제 대 학 ‘아동음악교육’ 수강 여학생 20명이었다. 본 연구 프로그램은 음악적 개념(리듬, 멜로디, 빠르기, 강약, 화성)과 연계가능한 그림책 20권을 선 정·분류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노래지도, 악기연주, 신체표현, 음악감상 등의 활동이 포함된 음악동화를 창작하여 팀별 모의수업을 기획·실기활 동 및 발표하게 하였다. 교육은 주 1회 3시간씩 총13회 진행되었으며, 사전·사후 동일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대응표본 t -검증으로 분석하였 다. 그 결과, 프로그램은 음악교수효능감 전체 및 하위영역인 ‘개인교수 효능감’과 ‘교수결과기대’를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또한, 음악활동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태도에서는 자신감, 편안함, 감정적 판단, 필요성 그리고 전체에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 의 음악교수효능감 증진과 음악활동에 예바유아교사의 긍정적 태도에 효 과적인 것을 입증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유아교육현장에 본 프로그램 을 적용하고 지속적으로 추적 관찰하여, 현장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 감과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태도 변화에 관한 검증 연구가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develops a creative music storybook-based mock teaching program to examine effects on pre-service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s toward music activities. The program focused teachers’ actively engagement in music education and to provide children with rich artistic experiences. 24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t an university in N City participated. 20 picture books linked to musical concepts—rhythm, melody, tempo, dynamics, and harmony—were selected. Each team created music storybooks incorporating singing, instrument playing, movement, and music appreciation and presented its mock lessons combining storytelling. Paired-sample t-test with identical pre and post tests data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music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s toward music activities in confidence, comfort, sentiment judgment and necessity. In conclusion, the program enhanced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and fostered positive attitudes. Future research should apply this program in early childhood settings and conduct longitudinal studies to verify its impact on in-service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