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그림책 감정코칭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의 전환학습 경험 탐색 KCI 등재

Exploring Adult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s in Picture Book Emotional Coaching Education Progra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54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 감정코칭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성인의 전환학습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이론적 모형을 생성하는 것이다. 감정 억압과 소통 어려움을 경험한 성인 9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체계적 근 거이론에 따라 현상 이해 분석, 범주 관계성 분석, 이론 통합 분석의 3단계로 실 시하였다. 현상 이해 분석을 통해 18개의 범주가 추출되었고, 범주 관계성 분석 에서는 인과적·과정적·미시적-거시적 관계 분석을 통해 범주들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이론 통합 분석에서는 핵심 범주인 ‘감정소통의 지혜’를 도출하고 전환학습 경험에 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전환학습 경 험은 갈등 인식, 탐색 참여, 관점 전환, 실천 적용, 통합 성장의 5단계 과정을 거 쳐 감정 억압에서 감정소통의 지혜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 림책 감정코칭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성인의 전환학습이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 고 표현하는 능력을 개발하여 관계 환경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는 학습 모델임을 확인하였으며,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heoretical model for understanding adult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s in picture book emotional coaching education program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adults experiencing emotional suppression and communication difficul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systematic grounded theory through three stages: phenomenon understanding, category relationship, and theoretical integration analysis. The Phenomenon understanding analysis extracted 18 categories, while category relationship analysis identified relationships through causal, processual, and micro-macro analyses. The theoretical integration analysis derived the core category 'wisdom of emotional communication' and presented a theoretical model. Participants'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s showed transformation from emotional suppression to wisdom of emotional communication through five stages: conflict recognition, exploration participation, perspective transformation, practice application, and integrated growth. This study confirms that transformative learning through picture book emotional coaching is a learning model that develops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to actively adapt to relational environments. The study presents practical applications for lifelong education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코칭의 개념과 이론
    2. 그림책을 활용한 감정코칭
    3. 전환학습의 개념과 과정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 참여자
    3. 자료 수집
    4. 자료 분석
    5. 연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IV. 연구 결과
    1. 현상 이해 분석 결과
    2. 범주 관계성 분석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강순이(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평생교육학과 박사과정) | Kang Soon-Yi (Doctoral Student,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 유기웅(숭실대학교 평생교육학과 교수) | Ryu Ki-Ung (Professor,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